-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정부에 의한 시장개입 여부에 따른 쌀 가격신축성 계수 추정

목차
1. 서 론
2. 분석 모형
3. 분석 자료
4. 추정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쌀의 가격신축성 계수는 수확기 가격을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한 수단을 제공해 준다. 그러나 기존 연구에서 추정한 가격신축성 계수는 0.13~1.44로 다른 농산물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확기 가격, 추세 단수 생산량 및 추세단수를 벗어난 작황지수를 이용하여 수확기 시점에서 시장 참여자들에 의해 형성된 정부개입의 정도를 파라미터로 추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추정한 가격신축성 계수는 정부 개입이 없다면 4.42로 매우 크게 추정되었다. 따라서 풍년이 들었을 때는 가격을 시장에 맡기기 보다는 시장격리를 통하여 가격을 지지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사전에 예상할 수 있는 구조적인 과잉의 경우에는 가격을 통하여 이를 해소할 것을 제안한다.
Rice price flexibility coefficients are used as a very useful tool to forecast rice price. However, changes in the price would be underestimated if the estimated coefficient in previous literature is used to forecast the rice price when there is not government intervention in the rice market. The estimated coefficient from previous literature does not consider the role of government in stabilizing the rice price using public stockholdings. The rice price stabilization policy increases demand elasticity (or decreased the coefficient of price flexibility). In this study we estimate the coefficient of price flexibility, considering the role of price stabilization policy. We find that the coefficient is 4.42, an increase from the estimates of the previous literature of 0.13 and 1.44. Therefore, we recommend that the Korean government accumulate excess production from years of good harvest to prevent a rapid fall in rice price. We also recommend that structural long-run oversupply should be adjusted by changes in rice price.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8962
-
좋아요0
-
다운로드105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새마을운동의 자발적 수용운동으로서 인도의 잔맙후미(Janmabhoomi) 사례연구
- 이전글
- 시설포도농가의 생산효율성 분포 변화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