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오렌지 수입시장에서의 관세 인하에 따른 후생효과 분석

2016.03.29 10675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최용호, 윤영석; 이상현
  • 등록일
    2016.03.29
목차

1. 서론
2. 오렌지시장의 특징과 가격동향
3. 오렌지가격에 대한 FTA 관세인하의 영향
4. 오렌지 관세인하에 따른 후생변화분석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FTA로 인한 관세 감축으로 농산물 수입시장에서 가격인하가 이루어지며 소비자후생이 증가할 것이라는 일반적 기대가 있는 반면, 일부 소비자단체나 언론들은 FTA로 인한 가격인하가 나타나고 있지 않는 상황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대표적인 불완전경쟁시장에 해당하는 오렌지 수입시장에서 한・미 FTA로 인한 관세인하에 따른 유통단계별 가격반응과 각 경제주체별 후생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미국의 오렌지 수출업체들이 관세인하 스케줄을 고려하여 수출가격을 조정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또한 균형대체모형을 구축하여 각 경제주체별 후생 변화를 도출한 결과, 관세감축혜택의 대부분을 높은 시장지배력을 가진 수출업체들이 가져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s how tariff reductions on fresh oranges by the KOR-US FTA have changed each economic player's welfare. By reviews 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s orange market, we first detect that a small number of US exporters have relatively much stronger market power than Korean importers, implying imperfect competition. Second, we theoretically explain and empirically examine that exporters may adjust exporting prices based on the size of tariff reduction. Finally, we employ the Equilibrium Displacement Models to estimate each economic player's welfare and discuss the implications on the changes in the welfare under imperfect competition, compared to perfect competition.
This paper provides the evidence that the tariff reduction affects the price decision of the U.S. orange exporters. The main results furthermore suggest that under imperfect competition, import price in Korean market is higher and consumer welfare is lower than under perfect competition.

저자정보
최용호Choi, Yongho
연구위원
소속: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최용호Choi, Yongho
연구위원
소속: 농식품정책성과관리센터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10675
  • 다운로드
    144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국제곡물시장 조기경보모형에 대한 개선연구
이전글
농촌경제 제38권 제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