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농산물 무역 네트워크 변화 분석

2016.06.29 7944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한보현, 안병일
  • 등록일
    2016.06.29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검토
3. 자료 및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와 교역을 하는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농산물 무역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의 네크워크 중심성과 위치를 확인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전반적인 농산물 무역 네트워크의 강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내 우리나라의 중심성 지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중심성 지수 순위는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것은 무역 규모가 큰 국가들로 인해 우리나라의 중심성 지수 증가 효과가 희석되거나 상쇄되었기 때문이다. US, EU, ASEAN의 중심성 지수는 전반적으로 높은 순위를 기록하였으며, 중국과 인도의 중심성 지수는 꾸준한 상승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탔다. 한편, 일본의 농산물 무역 네트워크내의 영향력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egree of centrality and position of Korea in the agricultural trade network. Analyt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trade network has been strengthened but the degree of concentration has been lessened. Korea’s centrality in the trade network has increase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ranking of centrality. This is because the effect of increased trade was offset by the increasing trade volume of huge trading partners. The US, EU and ASEAN have recorded high rankings and the influence of China and India has continued to rise. But on the contrary, Japan’s influence in the trade network has consistently decreased. We found that the influence of the large countries on the trade network might be changed if we add more countries in the analysis.

저자정보
한보현Han, Bohyun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한보현Han, Bohyun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 http://www.gpcbooks.co.kr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02)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농촌경제연구원 cctv 설치현황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7944
  • 다운로드
    62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BWS 방법을 이용한 쇠고기 구매 결정요인과 소비자 선호 관계 분석
이전글
인공신경망모형을 이용한 국제곡물 조기경보지수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