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서비스의 지불용의액 추정에 관한 연구

2016.09.21 5749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기명성, 이영성; 김민재
  • 등록일
    2016.09.21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3. 조건부가치측정법 설계
4.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지불용의액 분석결과
5. 결론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에서 확대 운영되고 있는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서비스의 편익을 추정하는데 있으며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서비스 도입을 고려하는 전라북도 진안군을 대상으로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지불용의액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수요대응형 교통수단의 1회 지불용의액은 기존 버스 유지 시 4,987원, 폐지 시 5,986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수요대응형 교통수단 요금이 버스요금수준(1,300원)인 것을 고려하면 지불용의액과 기존 교통수단의 요금 간 큰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시나리오별 추정결과 진안읍에서 멀수록 지불용의액이 높게 나타났으며 권역별따라 지불용의액도 유의미하게 달랐다. 또한 지불용의액이 영향을 끼치는 사회경제적 변수로는 버스 유지 시에는 성별과 결혼유무가, 버스 폐지 시에는 가족원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Demand-Responsive Transport (DRT), almost the same with call-taxis, is operated to protect rural villagers’ mobility rights. Currently its pricing is extemporaneous without reasonable ground. To decide its optimal price and subsidy, this study estimates willingness-to-pay of DRT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based on the case of Jinan-gun, Jeollabuk-do. The average WTP of DRT per person and trip is ₩4,987 when both bus and DRT are serviced at the same time and ₩5,986 when only DRT is serviced. In addition, how socio-economic variables impact people's willingness-to-pay is explored. The results' implications to economic efficiency and efficient pricing are also examined.

저자정보
기명성Ki, Myungsung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기명성Ki, Myungsung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5749
  • 다운로드
    53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식생활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수산물 선호도 분석
이전글
식사규칙성이 성인 비만에 미치는 효과 분석: 성향점수 매칭기법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