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고령자 친화형 식품에 대한 소비자 지불의사금액 및 후생 분석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분석 결과
4.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고령자는 대체로 식욕이 부진하고 음식 섭취 능력 또한 상대적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균형 잡힌 영양섭취를 위해서는 특별하게 가공된 식품이 필요하다. 그러나 우리나라 고령자는 소득수준이 대체로 낮은 특징이 있으며, 이로 인한 불확실한 시장 전망 때문에 식품업계는 고령자 친화적인 식품에 대한 연구개발을 주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고령자 친화형 식품 및 관련 정부 서비스에 대한 고령자의 지불의사금액을 조사하기 위해 가상가치평가법을 활용하였다. 추정된 지불의사금액 결과를 토대로 고령자 친화형 식품 시장이 활성화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후생 수준의 변화 또한 도출하였다. 추정된 지불의사금액과 기대되는 후생 증가의 크기는 식품 산업에게는 제품개발 유인 측면에서, 중앙정부에게는 식품정책 개발 측면에서 고령자 친화형 식품시장에 대한 참여와 관심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Seniors need specially processed foods because of their vulnerable appetite. Their ability to take foods is relatively weak, which disturbs their nutritional balance. However, the food industry is reluctant to con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senior-friendly foods due to the low income level of the elderly and uncertain market prospects. This study adopts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o examine elderly people’s willingness-to-pay for various types of senior-friendly foods and related government services. Based on the results, expected welfare that could be generated through development of the senior-friendly food market in South Korea is derived. The magnitude of the estimated willingness-to-pay and expected welfare may provide the central government as well as the food industry with a motivation to involve in the senior-friendly food market in terms of product development and food policy.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6354
-
좋아요0
-
다운로드225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농촌경제 제41권 제3호
- 이전글
- 김치 조달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