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베트남 소비자의 한국산 농식품 구입 의향 결정요인 분석

목차
1. 서론
2. 분석 자료 및 모형
3. 분석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소비자들의 소비특성에 따라 한국 농식품 구입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향후 베트남 시장 수출 확대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베트남 소비자 600명을 대상으로 한국산 신선농산물 및 가공식품의 구입의향 및 선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순위형 로짓모형을 추정함으로써 한국산 농식품 구입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베트남 소비자들의 한국산 농식품 구입의향 및 재구입의향은 한국산 농식품 구입 경험 여부, 품목부류(신선농산물 및 가공식품)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베트남 시장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획일적인 전략보다는 소비자와 농식품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수출확대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having an effect on the intentions to purchase Korean agro-food on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etnamese consumers and suggests the implications for the increase of exports to the Vietnamese market in the futur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ention and preference of Korean fresh and processed agro-food to 600 Vietnamese consumer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ordered logit model was utilized to analyze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Korean agro-food. The findings show that the importance of Vietnamese consumers’ attributes influencing the willingness to purchase or repurchase was analyzed to be different between consumers who had bought Korean agro-food and those who had not, or between fresh and processed agro-foo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consumers or agro-foods rather than the uniform strategies for the overall agro-food industry in order to target the Vietnamese consumer market.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36048
-
좋아요1
-
다운로드344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농촌경제 제41권 제4호
- 이전글
- 수리시설개보수사업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