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목차
1. 서론
2. 연구 자료 및 방법
3. 계절별 기상변화 발생 현황
4. 기상변화를 반영한 배추·무 작형별 단수 모형 분석
5. 시계열 분석 모형을 통한 배추·무 가격 변동성 분석
6. 요약 및 결론
요약문
2010년 이후 농산물은 기상변화에 따라 단수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어 쌀이나, 과일을 중심으로 관련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지구 온난화에 따라 예측하기 어려운 기상변화(집중호우, 폭염, 한파 등)가 나타나 노지 채소류의 안정적인 생산을 위협하는 상황임에도, 아직 기상자료 수집 및 활용 등의 부족으로 노지채소와 관련된 연구는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노지 채소류를 대표하는 품목인 배추, 무를 대상으로 작형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기상변화를 살펴보고, 해당 기상요인을 반영한 배추, 무 단수모형을 추정하여 배추, 무 단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 계절성을 반영한 배추, 무 시계열 모형을 추정하여 가격 변동성의 특징을 살펴보고 가격 변동성이 커지는 시점에서 어떠한 기상변화가 주로 발생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배추, 무 가격 변동이 커지는 계절과 해당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 기상변화가 무엇인가를 규명하여 정부의 배추, 무의 선제적 수급 안정 대책을 수립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This study targeted two purposes. Firstly, we examine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s on crop changes such as Chinese cabbages and Korean radishes, which are typically grown in unprotected farm fields. Through this examination, we intended to estimate cabbage and Korean radish yield models reflecting relevant weather factors and examine the effect on cabbage and Korean radish yields. Secondly, we aimed to assess the time series model of cabbages and Korean radishes, reflecting seasonal features to examine characteristics of price changes and find out which climate changes occur when prices significantly change.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amining what climate changes occur in the season and when the price of Chinese cabbages and Korean radishes dramatically changes. We believe that our accomplishment will help the government establish preemptive strategies for stabilized supply and demand of Chinese cabbages and Korean radishes.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86022
-
좋아요0
-
다운로드404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개인의 특성이 식품물가지수와 소비자체감물가 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 이전글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