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개인의 특성이 식품물가지수와 소비자체감물가 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

2020.03.31 60204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허태호, 황혜정; 이상현
  • 등록일
    2020.03.31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개념과 선행연구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실질식품물가지수와 체감물가간의 차이를 분석하여 물가체감간격지표(PICDI)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물가체감간격지표(PICDI)를 분석해본 결과 대다수 소비자는 실질식품물가지수보다 체감물가를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에 본 연구는 실질식품물가지수와 체감물가간의 괴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 직업군, 식료품 구입빈도, 식료품 구입장소, 월평균 가구 소득, 월평균 식료품비 지출액 등이 물가체감간격지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식료품 구매빈도수가 줄어들수록 실질물가와 체감물가간의 괴리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월평균 가구소득은 높을수록 실질물가와 체감물가간의 괴리는 늘어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Price Index and Cognition Difference Index(PICDI)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 food price index and consumer sentiment price. Our analysis of the PICDI calculated in this study shows that most consumers perceive the consumer sentiment price index higher than the real food price index. We also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difference. The result shows that both the real food price index and consumer sentiment price are influenced by gender, occupation, purchasing frequency, purchasing location, income, and expenditure.

저자정보
허태호Heo, Taeho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허태호Heo, Taeho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60204
  • 다운로드
    170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임산업체의 산림인증목재 구입 지불의사액 추정
이전글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