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수입곡물 가격변동이 국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20.06.30 58587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종진, 박성진; 박지원
  • 등록일
    2020.06.30
목차

1. 서론
2. 수입곡물의 국내 영향 개관
3. 분석 모형 및 자료
4. 분석 결과
5.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비선형 자기회귀시차분포(NARDL) 모형을 사용하여 세계 곡물가격 변동이 국내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세계 곡물가격 상승 시와 하락 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세계 곡물가격 상승 시에는 국내 소비자물가지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지만 그 반대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세계 곡물가격이 10% 상승하면 국내 총 소비자물가지수는 0.39% 상승하나 하락 시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총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와 개별 상품의 소비자물가지수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이를 물가가중치로 통합한 분석 경우에 비슷한 결과를 보이며, 세계 곡물가격과 상관관계가 큰 수입 상품들의 가격 변동을 고려하여 누락변수에 의한 편의 가능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였다는 점에서 강건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이 기존연구와 차별화되는 점은 이상과 같은 강건한 결과를 얻기 위한 다양한 시도에 더하여 기존의 연구가 사료, 밀가루, 전분당 등의 개별 품목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 머물고 있는데 반해 본 연구는 개별 영향을 모두 포함한 전체 소비자물가 영향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가격전이의 비대칭성을 명시적으로 고려하였다는 점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grain price variations on the domestic consumer price index using a nonlinear ARDL model, which significantly reduces specification errors. The key results show that only when international grain prices increase, the domestic consumer price index goes together with them but not vice versa. More specifically, when international grain price increased by 10%, the domestic total consumer price index went up by 0.39%.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ce as we obtained very similar results from our analysis of the effects of using individual products. Also, this study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s because we considered the possibility of omitted variable biases from exchange rates and imported prices of other goods closely correlated with imported grain prices.

저자정보
김종진Kim, Jongjin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종진Kim, Jongjin
선임연구위원
소속: FTA이행지원센터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58587
  • 다운로드
    433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GAP 인증 기준 개편에 따른 사회후생 변화 추정
이전글
기상 및 영농투입재 비용이 양파 단수에 미치는 영향: 패널회귀분석과 베이지안네트워크모형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