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GAP 인증 기준 개편에 따른 사회후생 변화 추정

2020.06.30 56523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남경수, 교일양; 심환희; 안병일
  • 등록일
    2020.06.30
목차

1. 서론
2. GAP 인증 현황 및 개편 방향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측면과 생산자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여 GAP 인증 기준 개편 시나리오를 보급활성화, 소비촉진, 국제화 추구 등으로 설정하였다. 각 개편 방향 시나리오에 따라 식량작물, 과일류, 과채류, 채소류로 구분하여 GAP 인증기준 개편에 따른 사회후생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식량작물에 대한 GAP 인증 개편은 대부분의 사나리오에서 사회후생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보급 활성화로 인한 사회후생증가는 크지 않았다. 과채류, 채소류 그리고 과일류는 소비 촉진 또는 국제화 추구와 같이 인증 기준을 강화하는 것이 사회후생을 증가시키는 방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중장기적으로 GAP 인증 기준을 강화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것이 GAP 인증제도 활성화의 바람직한 방향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social welfare changes as a result of improving the GAP certification standard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the consumer and producer sid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analysis, we set hypotheses for improving the GAP certification standards in three directions, including promoting consumption, pursuing internationalization, and accelerating popularization. Also, we calculated social welfare changes following each scenario of the improvement of GAP certification standards. Our analysis shows that social welfare associated with all agricultural products is likely to increase along with enhanced GAP certification standards.

저자정보
남경수Nam, Kyungsoo
부연구위원
소속: 글로벌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남경수Nam, Kyungsoo
부연구위원
소속: 글로벌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56523
  • 다운로드
    236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식품위해에 대한 소비자 불안과 식품소비자정보 리터러시가 식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전글
수입곡물 가격변동이 국내 소비자물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