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청탁금지법이 국내 과일 수요에 미친 영향 분석

2020.12.30 56410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강민성, 남경수; 안병일
  • 등록일
    2020.12.30
목차

1. 서론
2. 분석 방법 및 자료
3. 분석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청탁금지법이 선물용 과일의 수요 구조에 변화를 일으켰을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구조변화를 감안한 LA/IAIDS 모형 분석 결과,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선물용 과일들의 수요함수는 신축적으로 구조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품목별 가격변동계수 계측 결과, 법 시행 이후 선물용 과일의 가격 변동성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탁금지법의 시행으로 인한 과일 수요의 구조 변화는 생산 농가의 경영 안전성을 악화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법 시행으로 인한 과일 수요의 구조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법 시행이 과수 농가에 미친 피해가 실제보다 과소추정 될 것으로 우려되는 바이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that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may have caused a structural change in Korea’s fruit demand. We simulated the LA/IAIDS model using monthly data from 2000 to 2019 to analyze changes indomestic fruit demand caused by the enforcement of the law. According to the LA/IAIDS result, its implementation resulted in structural changes in apples and pears, decreasing own-price flexibility. The price volatility of apples and pears has also widen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policy enforcement has worsened domestic orchards’ management stability by inducing structural changes in demand for apples and pears.

저자정보
강민성Kang, Minseong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강민성Kang, Minseong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56410
  • 다운로드
    245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유전자변형 콩기름의 지불의사금액 추정과 결정요인 분석
이전글
음이항 회귀모형을 이용한 오리농장의 HPAI 발생 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