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교통 SOC 투자에 따른 교통 접근성 개선이 지역의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론: 공간패널모형
4. 분석 자료 및 변인
5. 분석 결과
6. 결론
요약문
교통 SOC는 농산업의 생산과 유통 전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교통 SOC의 확충은 개별 농가와 지역 농업소득 증대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예측에 대한 실증 분석 결과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찾아보기 힘든 형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교통 SOC 투자가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공간패널모형을 적용하여 2010-2016년 기간에 걸쳐 도로 및 철도 접근성의 변화가 농업부문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도로와 철도 모두에서 교통접근성이 높은 지역일수록 지역 자체에서의 농업 생산성 증대에는 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교통 SOC의 확충은 해당 지역에서의 농업 활동을 위한 교통접근성 개선과는 무관하거나 오히려 저해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산업으로서의 농업 그리고 공간으로서의 농촌의 특이성에 대한 고려 없이 현재와 같은 교통인프라 정책이 지속될 경우 우리나라의 산업 및 지역 간 격차는 더욱 심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 critical role of the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has been widely recognized. Despite the widespread recognition and acceptance that such a relationship exists, empirical studies testing this hypothesis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rare both in Korea and abroad. With a focus on the transportation accessibility conditions among regions,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on agricultural productivity. Using panel data on 152 local autonomies throughout 2010-2016, the study employs spatial panel models that best fit our data’s spatial structure.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are that while both road and railway accessibility indice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 increase in railway accessibility in modal reg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efficiency gains of neighboring areas concerning agricultural productivity. Presenting the problems of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ransportation SOC and agricultural productivity, this study concludes with some policy implications and discusses limitations in research for future directions for related studies.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56259
-
좋아요1
-
다운로드169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베트남전쟁기 한국 농업기술단의 활동과 시사점
- 이전글
- 유전자변형 콩기름의 지불의사금액 추정과 결정요인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