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베트남전쟁기 한국 농업기술단의 활동과 시사점

목차
1. 서론
2. 농업기술단 파견 배경과 전개
3. 농업기술단 파견 현황과 활동
4. 농업기술단 활동 평가
5. 결론 및 시사점
요약문
베트남전쟁 당시 한국정부는 남베트남을 지원하기 위해 농업기술단을 파견하였다. 이것은 한국 농업사에서 농업기술 해외진출의 첫 사례로 평가되지만, 지금까지 이에 관한 연구는 충분하지 못했다.
한국 농업기술단의 베트남 파견은 한국, 남베트남, 미국 간에 형성된 3각 경제협력의 구조 속에서 이루어졌다. 1967년 3월 18명을 시작으로 1975년 4월 베트남이 공산화 될 때까지 약 9년 동안 지속되었다. 이 기간동안 최소 200명 이상의 국내 전문가들이 베트남에 파견되었다. 이들은 농업경제, 수리, 수산업 분야에 걸쳐 남베트남을 지원하였다. 이들의 지원은 전쟁으로 황폐화된 남베트남의 농수산업을 복구하고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이들은 베트남에 파병된 한국군의 대민사업을 지원하는 역할도 하였다. 농업기술단의 베트남 파견을 통해 획득된 외화도 약 200만달러 이상으로 추산된다.
전쟁 기간 한국 농업기술단의 베트남 파견 사례는 농업사뿐만 아니라 전쟁사 측면에서도 연구의 의미가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되길 기대한다.
During the Vietnam War, the Korean government dispatched a Korean Agricultural Technical Group (KATG) to support South Vietnam. It was the first case of overseas transfer of farming technologies in Korean agricultural history, but so far,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studies on this.
The dispatch of the KATG to Vietnam took place under the structure of trilateral economic cooperation formed between Korea, South Vietnam, and the United States. Starting with March 18, 1967, it lasted more than eight years until Vietnam became communized in April 1975. During this period, at least 200 domestic experts were dispatched to Vietnam. They supported South Vietnam in the fields of the agricultural economy, water management, and fisheries. Their support contributed to the restoration and development of the farming and fishing industry in South Vietnam, devastated by the war. They also played a role in supporting Korean troops dispatched to Vietnam. The dispatch of the KATG to Vietnam also achieved approximately USD 2 million.
The dispatch of the KATG to Vietnam during the war period has significance in research for agricultural history and war history as well. Therefore, more studies to supplemen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need to be followed.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14674
-
좋아요0
-
다운로드84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농촌경제 제43권 제4호
- 이전글
- 교통 SOC 투자에 따른 교통 접근성 개선이 지역의 농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