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새마을운동 시기 도농 간 경제력 격차 변화 분석: 1960~1970년대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목차
1. 서론
2. 경북지역의 도시와 농촌 지역 경제력 변화
3. 경북지역의 시군별 경제력 변화와 새마을운동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본 연구는 1960년대와 1970년대 경북지역의 도시와 농촌지역에 있어서 경제력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여러 지표를 통해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마을운동이 집중된 1970년대에 있어 농촌의 경제력이 도시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에 있어서 경제력 격차는 새마을운동 전·후에 큰 변화가 없었다. 경북지역의 지역별 경제력지수의 분포 역시 새마을운동 기간 전·후에 있어 큰 변화가 없었으나 시간이 경과되면서 중간에 속하는 지역 수가 증가하면서 소폭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분포의 장기균형이라 할 수 있는 Ergodic 분포는 1966년과 1970년대를 비교할 때 새마을운동 이후 크게 우측으로 이동하여 발전적 모습을 보이기도 했으나, 새마을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1970년 중반 이후에는 오히려 좌측으로 이동하였는 바, 1970년대 발전적 변화가 새마을운동에 기인했다고 단정할 수 없었다. 한편 경제력지수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농촌지역의 경제력지수와 도시지역의 경제력지수 격차가 1970년대 새마을운동을 거치면서 완화되었다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즉 새마을운동을 거치면서 농촌지역의 절대적인 경제력 수준이 개선되었으나, 도시지역에 대한 상대적 수준은 그리 개선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결과가 새마을운동이 농촌지역의 경제력 발전에 전혀 기여하지 않았다는 것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시와 농촌간 경제력 격차 해소에 있어 새마을운동이 실질적으로 큰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This study analyzes the economic development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 in Gyeongsangbuk-do, one of Korean southeastern provinces. Saemaul Undong, a representative rural development program of Korea, started to narrow the gap in the 1970s. This study evaluates the role of the program in narrowing the gap in the period. An economic development index based on several 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per capita, industrialization, population growth rate, infrastructure, education, population aging, are calculated and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gram on the economic development gap.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gap in the period. Although a few rural regions improved in the index, the main factor of the improvement was industrialization which was not related with the program. However, ergodic distributions of the index changed to the direction of narrowing the gap. However, it is not clear that the change was originated from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the null hypothesis that the program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narrowing the gap is rejected. This means that although there was an economic improvement in the absolute level, the rural relative economic improvement to the urban area was not achieved significantly in the period. These findings show that some scholars’ argument on the program’s positive and significant role in narrowing the gap may not be true.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related previous studies based on income gap between the urban and rural area may overrate the positive effect of the program on rural economic development in the period.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41758
-
좋아요0
-
다운로드131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경기변동과 농업 고용: 자영농을 중심으로
- 이전글
- 농촌 주민의 노인 돌봄 제공 의향과 수용의사금액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