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촌경제

연령-연도-코호트 모형을 이용한 개인의 쌀 소비량 결정요인 분석

2023.12.29 6880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문동현, 김성용; 이두영; 김종진
  • 등록일
    2023.12.29
목차

1. 서론
2. 분석 방법
3. 분석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1980년대 이후 우리나라 가구의 쌀 소비량은 꾸준히 감소하지만, 우리 국민들의 주식은 여전히 쌀이다. 따라서 주식인 쌀 소비와 관련된 요인들을 파악하는 것은 현재에도 매우 중요하다. 이 논문은 가구의 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다. 특히,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연령-세대-코호트 모형에 적용하여 연령효과와 세대효과를 분리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효과를 통해 10대 시기에 쌀 소비량이 가장 많았으며, 20대 이후부터는 쌀 소비량이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세대효과를 통해서는 높은 세대일수록 쌀 소비량이 많음을 파악하였다. 또한 연도효과는 특정 추세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단순히 시간(연도)이 지남에 따라 쌀 소비량이 줄어드는 것보다는 순연령효과로 인해 쌀 소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Since the 1980s, there has been a consistent decline in rice consumption in Korea. Nonetheless, Given the fact that rice is a staple food in Korea, comprehending the factors influencing its consumption remains crucial.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rice consumption in Korean households by decomposing the age and cohort effects.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NES) were employed for an Age-Period-Cohort(APC) analysis. As a result, the age effect shows that rice consumption was the highest in teenagers and continued to decrease after 20s. In addition, the generation (cohort) effect reveals that the higher the household, the higher the rice consumption. The year effect did not show any particular trend. These results collectively suggest that rice consumption is attributed to the net age effect rather than the simple decline trend.

저자정보
문동현Moon, Donghyun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문동현Moon, Donghyun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6880
  • 다운로드
    297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미세먼지 농도에 따른 신선농산물 소비 변화 분석
이전글
COVID-19 전후 환율이 식품 물가에 미치는 비대칭성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