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세계농업전망

2022년 세계식량안보지수(GFSI)

2023.11.30 4276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임송수
  • 등록일
    2023.11.30
목차

1. 들어가며
2. GFSI의 구성과 산출 방법
2.1. 4대 축과 세부 지표
2.2. 산출 방법
3. GFSI의 산출 결과
4. 한국 GFSI의 산출 결과
5. 결론과 시사점

요약문

글로벌 식량안보 동향 파악의 한 방법으로, 이를 지수화하여 일목요연하게 추세와 현황을 비교할 수 있는 세계식량안보지수(GFSI)에 대해 개념, 산출 방법, 2022년 산출 결과 등을 소개하였다. GFSI는 4대 축(식량 부담 능력, 식량 공급 능력, 품질과 안전, 지속가능성과 적응), 25개의 세부지표로 되어 있는데 새로운 지표가 추가되기도 한다. 전문가 패널에 의해 가중치가 결정되며, 국제기구, 연구소, 정부 부처 등의 자료를 활용한다. 고소득 국가가 상위 점수를 차지하며,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6개국과 시리아, 아이티, 예멘 등이 최하위 그룹에 속한다. 일본이 6위인 반면, 한국은 39위에 위치하였다. 지난 8년간 지수가 개선되어 오다가 2010년대 말부터 추세가 역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7년까지 식량 자급률을 55% 이상으로 높이겠다는 정부의 목표가 이번에는 달성될지 지켜봐야 할 것이다.

저자정보
임송수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임송수
저자에게 문의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 드리겠습니다.

  • 상세정보 조회
    4276
  • 다운로드
    448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세계 유지류 수급 현황과 전망
이전글
OECD-FAO 곡물 부문 농업전망(2022-2031)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