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농정포커스

한·EU FTA 이행 10년, 교역 동향 및 수입구조 변화와 시사점

2021.10.13 17859
연구보고서 표지
  • 저자
    김경필, 남경수; 명수환; 구혜민
  • 등록일
    2021.10.13
목차

1 서론
2 한·EU 농식품 교역 동향
3 주요 품목별 교역 동향
4 주요 품목별 수입구조 변화
5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2011년 7월 발효된 한·EU FTA는 대부분 품목의 관세를 10년에 걸쳐 인하 또는 철폐하는 것으로 협상하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국내보완대책도 10년간 시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음. 따라서 본 리포트는 한·EU FTA가 발효된 지 10년이 경과된 시점에서 한·EU의 교역 동향을 살펴보고, FTA 발효 전/후 수입구조 변화 여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한·EU FTA의 농식품 개방 수준(96.3%)은 우리나라가 발효한 FTA 중 한·미 FTA(97.9%) 다음으로 가장 높으며, 이행 10년차 수입과 수출 모두 발효 전 평년 대비 증가함.
• 한·EU FTA 이행 10년차 EU산 농식품 수입은 49억 달러로 발효 전 평년 대비 132.4% 증가
• 한·EU FTA 이행 10년차 對EU 농식품 수출은 3.3억 달러로 발효 전 평년 대비 65.7% 증가

한·EU FTA 이행 10년차 EU산 농식품의 FTA 수입 특혜관세활용률은 83.1%, 우리나라 농식품의 對EU FTA 수출 특혜관세활용률은 63.9%였음.
• 이행 10년차 EU산 농식품 전체 수입액에서 ‘FTA 대상 품목’의 수입액은 46.8억 달러이며, 그중 FTA 특혜관세활용 수입액은 38.9억 달러(83.1%)로 나타남.
• 이행 10년차 우리나라의 對EU 농식품 수출액은 3.3억 달러이며, 그중 FTA 특혜관세활용 수출액은 2.1억 달러(63.9%)로 나타남.

한·EU FTA 발효 이후 주요 농식품 수입은 FTA 발효 이전에 비해 중장기적 결정구조를 보임.
• FTA 발효 전/후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당월 EU산 수입량은 전월뿐만 아니라 2~3개월 전 수입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어, FTA 발효 이후 EU산 수입량이 단기에서 중장기적 구조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이를 통해 향후 EU산 농식품 수입량의 변동성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EU산 농축산물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보완대책 등으로 국내 농업 경쟁력이 일정 수준 확보된 상황이므로 수입보다 수출 증대를 고려할 시점인 것으로 판단됨.
• EU산 농축산물의 수입특혜관세활용률은 80%를 넘어섰으나, 수출특혜관세활용률은 64% 수준에 그침. 따라서 수입 피해에 대응한 정책보다 국내 농축산물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는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임.

저자정보
김경필
선임연구위원
소속: 유통혁신연구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저자에게 문의
김경필
선임연구위원
소속: 유통혁신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 상세정보 조회
    17859
  • 다운로드
    551

같은 분야 보고서

다음글
최근 농산물 가격 변동 실태와 시사점
이전글
2020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