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푸터바로가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로고

  1. ENG
  2. 사이트맵 열기
  3. 메뉴열기

KREI I-zine

[한국농촌경제연구원] I-zine Vol.1035

45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게시일
2025-07-09 00:00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소식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농촌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갑니다

👀
< 농정포커스 228호 > ✍️김수린 연구위원
2024년 농어촌 삶의 질 실태와 주민의 정주만족도 조사 
  ✅농어촌 주민의 지역 만족과 생활 여건 
  농어촌 주민들은 도시민보다 지역에 더 큰 애착과 만족을 느끼고 이웃과의 교류도 활발했습니다. 하지만 보건·복지, 교육·문화, 정주기반, 경제·일자리 등 기본 생활 여건에 대한 만족도는 지난 10년간 도시보다 여전히 낮았는데요. 특히 보건·복지는 중요도가 가장 높은 만큼 시급히 개선이 필요하며, 고령 농림어업인은 전반적인 만족도가 가장 낮아 맞춤형 지원 정책이 필요합니다.

  🏡 읍면 간 격차와 생활의 어려움 
  농촌 안에서도 읍과 면 지역 간 격차가 뚜렷하게 나타났습니다. 면 지역 주민들은 보건·복지, 교육·문화, 정주기반, 경제·일자리 모든 분야에서 읍 지역보다 만족도가 낮았으며, 이런 차이는 계속 유지돼 농촌 내 불균형이 고착화되었음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 취약계층 맞춤 지원의 필요성 
  이번 조사를 통해 특히 고령 농림어업인과 면 지역 주민처럼 취약한 집단과 지역에 우선적인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찾아가는 의료·복지 서비스 확대, ICT를 활용한 교육·문화 프로그램, 평생교육과 공공서비스 거점 조성, 교통 연계 강화, 지역형 이동 서비스, 농촌 특화 창업·일자리 지원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삶의 질 개선이 필요합니다.

🎙️
지역먹거리계획 활성화 방안
현장토론회 개최
KREI-농업경제학회,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 개최
 🗓️ 7월 2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과 청양군은 청양군 푸드플랜 홍보교육관에서 ‘지역먹거리계획 활성화’를 주제로 현장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청양군의 다양한 푸드플랜 사례와 성과를 공유하고, 생산-유통-소비의 선순환 체계 구축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한두봉 KREI 원장은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청양형 모델을 전국으로 확산시키고, 지속가능한 지역 먹거리정책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밝혔습니다.
 🗓️ 7월 4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사)한국농업경제학회와 함께 대학원생 논문경진대회를 열고, 총 6편의 우수논문을 선정하고 시상했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후원으로 열린 2025년 한국농업경제학회 하계학술대회에서는 한두봉 KREI 원장이 '농업경영체의 역할과 과제'를 주제로 기조발표를 했으며,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습니다. 

🏆
7월 이달의 직원에 한근수 책임전문원, 김성휘 위촉연구원 선정
  7월 이달의 직원으로 한근수 책임전문원, 김성휘 위촉연구원이 선정되었습니다.
두 사람은 평소 맡은 바 업무에 투철한 사명감을 가지고 최선을 다하여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두 분 모두 축하드립니다!🎉

📚
세계농업 여름호 (제262호)
세계농업은 세계 농식품산업 동향, 국가별 농업자료, 세계농업 전망, 북한·중국 농업동향 등을 기본으로, 매 호의 주제에 따라 다양한 내용을 담습니다.
이슈플러스 37호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 강화와 농업 부문 과제
한국농어민신문 기고
그런 척하면 그렇게 된다, 공동의 실천을 촉진하는 농업·농촌 정책

한국농촌경제연구원
webadmin@krei.re.kr ㅣ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로 601, 061-820-2000
작성자
국제협력실
이전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I-zine vol.1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