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해외출장연수보고
캅커스 산맥 관리 실태 파악과 산줄기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수단 조사를 위한 출장

1. 출장건명: 캅커스 산맥 관리 실태 파악과 산줄기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정책수단 조사를 위한 출장
2. 출장목적
- 캅커스 산맥(Caucasus Mountains)은 아시아와 유럽을 남북으로 구분하는 주요 산줄기임. 북쪽으로는 러시아, 남쪽으로는 이란과 터키, 서쪽으로는 흑해, 동쪽으로는 카스피해와 접한 곳에 있음. 이 산줄기는 길이 1,200㎞, 너비 160㎞에 이르는 대단위 자연 지형으로, 동서남북의 교차로로 불릴 정도로 오랜 기간 다양한 민족들이 얽히면서 복잡한 역사, 문화, 종교를 형성해 왔음. 이에 산줄기라는 자연 지리적 여건이 인문환경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왔음.
- 특히,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에 걸친 남캅커스 산맥(Lesser Caucasus)은 생태 및 경관적으로 그 가치를 높게 인정받고 있음. 이 지역에만 6천 종 이상의 식물과 다양한 야생동물, 수천 종의 곤충 등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임. 이에 캅커스 3국은 국제 네트워크(Caucasus Mountain Forum)를 구성하여 수려한 자연경관과 원시림 수준의 숲,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문화를 지속 가능하게 이용하고 보존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이 네트워크에는 3국의 정부, 학계, NGO는 물론 국제기구와 유럽 대학도 참여하고 있음.
- 본 연구과제의 목적은 ‘법률상 산지 전용 및 일시사용 제한지역의 조건으로 활용되고 있는 ‘산줄기’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화하고, 선(line)을 관리지역인 면(area)으로 전환하는 것‘임. 따라서 캅커스 3국(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이 산줄기의 범위를 어떻게 어디까지 설정하였으며(지정 기준 등), 이를 어떤 방식으로 이용을 규제하고, 관리해왔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음.
- 이상의 배경에서 남 캅커스 지역의 산줄기 보전과 해당지역의 생태계 보존 및 지속가능한 개발 등에 관련된 다양한 사업과 운동, 정책 등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위한 현지 조사를 시행하였음.
3. 출장지역:아르메이나,조지아(예레반,트빌리시)
4. 출장기간: 2019.10.17~2019.10.25
5. 출장자
- 산림정책연구센터 구자춘 부연구위원
- 산림정책연구센터 석현덕 선임연구위원
6. 출장 일정 및 주요 출장 결과: 파일 첨부
- 다음글
- OECD 제 48차 농업환경공동작업반 회의 참석 및 대응
- 이전글
- 동아시아·동남아시아 식품 손실 및 폐기 감소를 위한 국제 워크숍 참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