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연구보고서
- 이슈+
- 인재채용
- 연구원개요
- 정보공개
- 고객헌장 및 서비스 이행표준
- 학술지
- 농정포커스
- 공지사항
- 조직도
- 공공데이터 개방
- VOC 처리절차
- 글로벌 정보
- KREI논단
- 보도자료
- 원장실
- KREI 정보공개
- 개인정보 처리방침
- 농업농촌국민의식조사
- 주간브리프
- KREI I-zine
- 연구사업소개
- 사업실명제
- CCTV 설치 및 운영안내
- 세미나
- 농업농촌경제동향
- 농경나눔터
- 경영목표
- 연구협력협정 체결현황
- 홈페이지 저작권 정책
- 농식품재정사업리포트
- 동정&행사
- 윤리경영
- 해외출장연수보고
- 이메일 무단수집 금지
- 농업관측정보
- 연구제안
- 신고센터
- 질의응답
- 인권경영
- 체육시설 및 주차장 운영안내
- 뉴스레터
- 임업관측정보
- ESG경영
- KREI CI
- 찾아오시는 길
-
- 연구보고서
- 농촌경제
- 세계농업정보
- 개요
- 자료집
- 채용안내
- 원장 인사말
- 인권경영비전
- 안내
- 경영정보공시
- 국내
- 제1장 총칙
- ESG경영목표및전략
- 수시연구과제
- 논문기고안내
- 해외곡물시장동향
- 정보그림
- 채용공고
- 원장 약력
- 인권경영 추진체계
- 공공데이터 수요조사
- 사전정보공표
- 국외
- 제2장 공정한 직무수행
- ESG경영 추진체계
- 2024년 기본·일반연구보고서
- 논문작성도우미
- 농축산물수입동향(FTA)
- 조사결과
- 친인척 채용인원 공개
- 역대 원장소개
- 인권침해 구제절차 신고
- KREI 핵심정보
- 제3장 부당 이득의 수수 금지 등
- ESG 실천과제 및 추진성과
- 관련자료
- 인권경영 활동/교육
- 참고자료
- KREI RESEARCHER
- 제4장 건전한 공직풍토의 조성
- ESG성과평가
- 인권경영 지침/자료
- 제5장 위반시의 조치 등
- ESG경영위원회 운영기준
- 제6장 보칙
농촌경제
기업 특허자료를 이용한 농어업 및 생물유관산업의 재분류

목차
1. 서 론
2. 분석방법
3. ˝산업-기술위치˝ 측정과 판별분석
4. 산업 재분류 결과와 시사점
5.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초록
농업, 화학, 의약?보건, 환경, 식음료 산업 등과 같은 전통적 산업이 생명공학기술이라는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산업간 연계관계를 구축해 가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 농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전통적 농업에 생명공학기술이 연계되어진 생명공학농업의 육성이 강조되는 것도 산업구조의 이와 같은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제품위주 산업 분류체계의 적용을 통해서는 분류하기 힘든 산업 간의 중첩 영역이 생성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런데 현재의 산출물에 근거한 산업분류체계로는 기술과 지식을 중심으로 규정되는 생물산업을 분류할 수 없다. 생물산업의 정확한 분류와 현황 파악을 위해 국제적으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NESTI (National Expert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사업의 일환으로 생물산업에 대한 분류체계 마련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는 통계청이 신산업들에 대해 2000년도에 ‘특수목적용 산업분류표’를 설정하여 정보산업, 환경산업, 관광산업 등의 산업을 새로 분류하고 있지만 생물산업만은 산업이 아닌 생명공학기술이라는 ‘기술’로 정의하고 있다. 이는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의 분류기준이 산출물을 기준으로 되어 있어서 기술?지식을 기반으로 형성된 생물산업에 대해서는 적용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황을 배경으로 하여 기술?지식 기반적인 산업적 특성을 고려함으로써 현행 산업 분류체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특허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생물산업의 분류를 시도하였다. 기업의 특허자료를 이용하여 우선 ‘산업-기술위치’를 측정하고 여기에 통계적 판별분석을 적용시켜 기존의 표주산업분류 체계에 의한 기업들을 다시 기술기반 산업분류 체계로 재편성하였다. 농업, 화학, 의약?보건, 환경, 식음료 산업 등이 생물산업과 기술기반의 공통성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업 특허자료의 이용은 생물산업 재분류를 위한 하나의 대안이지 완전한 방법은 물론 아니다. 현실적으로 특허자료를 보완할 수 있는 대체 변수의 개발과 다른 연구방법의 모색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정확한 생물산업의 구분은 정확한 자료의 조사와 축적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이는 나날이 증가되는 생물산업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전제조건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biotechnology has served as a basic knowledge on which several bio-related industries are based. The bio-related industries include ‘agricultural and fishery industry’, ‘bio-industry’, ‘food and beverage industry’, ‘chemical industry’, ‘health industry’, and ‘environmental industry’. Using firm-level micro data, this study carries out an empirical analysis to classify firms into above-mentioned six technology based bio-related industries. 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KSICS) is commodity or output based industrial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annot be used in such studies that deal with technology-related issues. In order to investigate technology-related issues among industries we need to classify industries into knowledge or technology based category. In this study, industrial technological location of each firm is determined by applying LDM(Linear Discrimination Method) to IPC(International Patent Code) of Korean granted patent data of firms. The result shows that the industrial classification of firms based on output(KSICS)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based on technology.
저자정보

저자에게 문의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판매서점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
상세정보 조회12856
-
좋아요0
-
다운로드4
같은 분야 보고서
같은 분야 보고서가 없습니다.
- 다음글
- 19세기 후반 湖南의 農形과 給災
- 이전글
- 농기계사고의 경제·사회적 비용 추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