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농정포커스

농정포커스

제4유형
  • 농업·농촌에 대한 2009년 국민의식 조사결과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김동원 , 박혜진
    등록일
    2009.12.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매년 말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를 2009년에도 10월부터 두 달간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는 특히 농업인과 도시민 등 기존 조사대상 그룹에 처음으로 전문가 그룹까지 포함하여 농업?농촌과 관련된 폭넓고 균형있는 여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시민 1,500명, 농업인 906명, 전문가 64명 연인원 2,470명이 참여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농업?농촌의 가치와 중요성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그룹 간 이해관계에 따라 상이한 정책방향과 기대를 표출하였다.
    도시민 10명 중 ...

  • 목차

    • 요 약
      1. 머리말
      2. 농업·농촌의 가치 인식과 의식 변화
      3. 농업정책 전반에 대한 기대와 요구
      4. 식품안전과 소비, 농촌관광 수요
      5. 주거환경과 복지수준 인식
      6. 시사점

    요약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매년 말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조사를 2009년에도 10월부터 두 달간 실시하였다. 이번 조사는 특히 농업인과 도시민 등 기존 조사대상 그룹에 처음으로 전문가 그룹까지 포함하여 농업?농촌과 관련된 폭넓고 균형있는 여론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도시민 1,500명, 농업인 906명, 전문가 64명 연인원 2,470명이 참여한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농업?농촌의 가치와 중요성 인식을 같이하면서도 그룹 간 이해관계에 따라 상이한 정책방향과 기대를 표출하였다.
    도시민 10명 중 9명(89.3%)이 국가경제에서 앞으로도 농업이 중요하다고 지지했으며, 10년 후 한국농업 전망은 전문가 40.6%, 도시민 30.0%, 농업인 20.2%가 희망적이라고 응답했고, 10년 후 농촌생활은 전문가 53.2%, 도시민 37.3%, 농업인 25.0%가 긍정적으로 전망해 전문가와 농업인 간에 2배의 인식차이를 보였다.
    국민들은 현재와 미래의 농업?농촌 역할로 ‘안전한 식품의 안정적 공급’ 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꼽았으며, 도시민 10명 중 6명 정도(61.1%)가 농산물 시장 보호론을 옹호했지만 전문가 그룹은 20.4%만 찬성해 개방이 불가피하다고 인식하였다.
    도시민 응답자 58.6%는 농업?농촌의 다원적 가치를 인정하고 있으며, 다원적 기능 유지를 위한 세금 추가부담에는 50.3%가 찬성하여 최근 몇 년새 다원적가치에 대한 긍정적 인식 비율이 답보상태에 있다.
    올해 농사에 만족한다는 농업인은 29.1%로 나타났으며, 불만족 요인으로는 농자재값 상승 등 농사여건 악화를 꼽았다. 농업인으로서의 직업만족도는 2002년부터 꾸준히 상승해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30%대(32.1%)에 진입하였다.
    농가의 경영위협 요인으로는 생산비 증가를 가장 많이(32.0%) 꼽았으며, 인력 부족(19.5%)도 주된 위협요인으로 꼽았다. 이런 가운데 농업인과 전문가 과반수 이상, 도시민 10명 중 4명(39.8%)이 농업?농촌에 대한 정부 관심과 지원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2009년 중점 추진 농업정책에 대한 평가에서는 전문가나 농업인 모두 한식세계화 등 식품산업 육성과 농식품 수출확대를 성과가 높은 분야로 꼽은 반면, 농가 경영안정에 관한 정책은 가장 성과가 낮은 분야로 지목하였다.
    투자를 확대해야 할 분야로 농업인은 연금지원과 직접지불제 확대를, 전문가는 농산물 안전성 확보와 인력육성 등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대책 중심의 투자에 관심을 가져 농업인과 뚜렷한 견해 차이를 보였다. 다만 투자를 축소해야할 분야로 농업인이나 전문가 모두 전업농을 위한 영농규모화 지원을 꼽았다.
    중장기 농업?농촌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농업인은 소득안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전문가 그룹은 후계인력 육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해 역시 정책 방향에 대한 견해 차이를 보였다.
    도시민 83.8%는 국산농산물이 중국산이나 개도국 농산물과 비교해 훨씬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높은 지지를 보였으며, 시행 1년이 경과한 음식점 원산지 표시제에 대해서는 실효성이 있다는 응답이 시행초기 조사(’08.10)결과보다 11.8%p 상승한 57.2%로 긍정적인 평가가 우세하였다.
    귀농 의향을 밝힌 도시민은 응답자 2명 중 1명꼴(53.0%)로 나타났으나 5년 내 실현하겠다는 도시민은 3.8%에 그쳤으며, 귀농의향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귀농에 필요한 조건으로는 수입원(33.2%)과 귀농귀촌에 대한 정보(13.8%), 이주비용(12.2%), 귀농프로그램(11.7%) 등을 꼽았다.
    거주환경과 삶의 질 만족도에서 도-농 격차는 좁혀지지 않아 그 차이가 전년도와 비슷한 각 19.4%p, 7.5%p를 나타났으나, 도시민과 농업인 모두 긍정적인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민 중 농촌지역 복지예산 증액에 찬성하는 비율은 63.4%로 4년 전에 비해 12.0%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에게 문의

    김동원 이미지

    저자소개
    김동원
    - 책임행정원
    - 소속 : 디지털정보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3788 0 9 0 0
    • 
														    FTA 체결 20년, 농식품 교역 변화와 시사점

      FTA 체결 20년, 농식품 교역 변화와 시사점
      남경수
      2024.04.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과 향후 과제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과 향후 과제
      성주인
      2024.02.2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김수린
      2024.01.3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4년 10대 농정 이슈

      2024년 10대 농정 이슈
      유찬희 외
      2024.01.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김상현
      2024.01.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정민국
      2023.11.1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8~2022년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시사점

      2018~2022년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시사점
      김태후
      2023.10.3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RCEP 발효 1년, 농식품 수출입 영향과 시사점

      RCEP 발효 1년, 농식품 수출입 영향과 시사점
      남경수
      2023.08.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업경영위험 대응 논의와 시사점

      농업경영위험 대응 논의와 시사점
      임소영
      2023.07.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민선형
      2023.05.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유찬희
      2020.08.2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정학균
      2020.07.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0년 10대 농정이슈

      2020년 10대 농정이슈
      이명기
      2020.01.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정정길
      2020.07.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귀농·귀촌 인구이동 동향과 시사점

      귀농·귀촌 인구이동 동향과 시사점
      송미령
      2020.12.1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환경 변화를 반영한 2020년 농업부문 수정 전망

      환경 변화를 반영한 2020년 농업부문 수정 전망
      서홍석
      2020.09.1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서홍석
      2020.06.05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와 농업 고용노동력

      코로나19와 농업 고용노동력
      엄진영
      2020.05.2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대체식품 현황과 대응과제

      대체식품 현황과 대응과제
      박미성
      2020.07.0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1년 10대 농정이슈

      2021년 10대 농정이슈
      이명기
      2021.01.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업·농촌에 대한 2010년 국민의식 조사결과
  • 이전글 2009년산 쌀 증산에 따른 가격 및 소득 분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