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농정포커스

농정포커스

제4유형
  • 주요국의 농업분야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운용 실태 : 미국, 일본, EU, 호주, 뉴질랜드 등을 중심으로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저자
    김창길 , 김윤형; 정학균
    등록일
    2010.11.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탄소배출권은 일정기간 동안 오염원들에게 온실가스의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해주고 오염원들 간에 이러한 권리를 매매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비용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배출권 거래제 도입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안)’ 제정이 논의되고 있으며, 2012년부터 본격 도입될 예정임. 농업부문의 경우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될 경우 탄소 배출의 감축을 통한 크레딧의 획득·판매로 농가소득원 창출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본격적인 제도 시행에 앞서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

  • 목차

    • 요 약
      1. 머리말
      2. 탄소배출권 거래제도의 개념과 중요성
      3. 주요국의 농업분야 탄소배출권 거래제도 현황
      4. 주요국 사례 검토를 통한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요약문

    탄소배출권은 일정기간 동안 오염원들에게 온실가스의 일정량을 배출할 수 있는 권리를 인정해주고 오염원들 간에 이러한 권리를 매매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비용 효과적인 온실가스 감축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음.
    우리나라의 경우 배출권 거래제 도입을 위해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도에 관한 법률(안)’ 제정이 논의되고 있으며, 2012년부터 본격 도입될 예정임. 농업부문의 경우 배출권거래제가 시행될 경우 탄소 배출의 감축을 통한 크레딧의 획득·판매로 농가소득원 창출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본격적인 제도 시행에 앞서 관련 데이터베이스 구축 등과 같은 대비가 필요함.
    현재 EU-ETS와 호주 및 뉴질랜드의 경우 농업부문 배출권제도 도입과 관련하여 배출량 산정과 모니터링의 어려움 및 농민단체의 반발로 농업 부문 참여가 배제되고 있음. 미국 시카고 기후거래소와 일본의 경우는 농업부문의 배출권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어 향후 국내 배출권거래제 도입에 벤치마킹할 필요가 있음.
    특히 미국 시카고 기후거래소의 경우 농경지토양에 의한 이산화탄소 흡수의 구체적인 방법과 제도를 명시하고 있어 농업분야 배출권거래제도 국내 도입시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음. 또한 일본의 경우 우리나라와 유사한 실정이기 때문에 제도 도입의 지침과 운영에 따른 문제점 등을 검토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배출권거래제는 각 경제주체들 간의 이해관계가 첨예한 제도이기 때문에 제도 시행에 앞서 사회적 합의 도출이 선결과제이며, 법적·제도적 기반 구축과 새로운 제도도입에 따른 분야별 파급영향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현재 시행중인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와의 적절한 연계 등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김창길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4325 0 63 0 0
    • 
														    FTA 체결 20년, 농식품 교역 변화와 시사점

      FTA 체결 20년, 농식품 교역 변화와 시사점
      남경수
      2024.04.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과 향후 과제

      농촌공간재구조화법 시행과 향후 과제
      성주인
      2024.02.2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2023년 농업·농촌 국민의식 조사
      김수린
      2024.01.3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4년 10대 농정 이슈

      2024년 10대 농정 이슈
      유찬희 외
      2024.01.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농업 ODA 확대가 K-Food+ 수출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김상현
      2024.01.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2023년 소비자 김장 의향 및 주요 채소류 공급 전망
      정민국
      2023.11.1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8~2022년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시사점

      2018~2022년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시사점
      김태후
      2023.10.3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RCEP 발효 1년, 농식품 수출입 영향과 시사점

      RCEP 발효 1년, 농식품 수출입 영향과 시사점
      남경수
      2023.08.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업경영위험 대응 논의와 시사점

      농업경영위험 대응 논의와 시사점
      임소영
      2023.07.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민선형
      2023.05.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유찬희
      2020.08.2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정학균
      2020.07.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0년 10대 농정이슈

      2020년 10대 농정이슈
      이명기
      2020.01.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정정길
      2020.07.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귀농·귀촌 인구이동 동향과 시사점

      귀농·귀촌 인구이동 동향과 시사점
      송미령
      2020.12.1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환경 변화를 반영한 2020년 농업부문 수정 전망

      환경 변화를 반영한 2020년 농업부문 수정 전망
      서홍석
      2020.09.11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업부문 영향분석
      서홍석
      2020.06.05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와 농업 고용노동력

      코로나19와 농업 고용노동력
      엄진영
      2020.05.2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대체식품 현황과 대응과제

      대체식품 현황과 대응과제
      박미성
      2020.07.0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1년 10대 농정이슈

      2021년 10대 농정이슈
      이명기
      2021.01.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구제역 발생에 따른 2011년 상반기 소·돼지 가격 전망
  • 이전글 쇠고기 수입 증가에 따른 하반기 한우 가격 영향 분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