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엄궁농산물도매시장 현대화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1-45)
    저자
    전창곤 , 김동훈; 하홍근; 김광훈
    등록일
    2011.11.30
  •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은 개장 이후 부산지역의 중추적 농산물 도매기구로써 그 위상을 구축해 왔다. 그러나 제한된 기능과 낙후되고 부족한 시설 상태로 인해 급속한 유통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한계를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의 글로벌 지향의 경쟁력 제고, 거래 활성화, 다양한 기능 수행을 위한 시설현대화와 규모 확충, 다양한 이용자 니즈 충족을 위해 시장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유통환경과 국제도시화 과정에서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이 부산을 포함한 ...

  • 목차

    • 제1장 서 론
      제2장 유통환경 변화와 도매시장 전망
      제3장 엄궁농산물도매시장 유통실태와 문제점
      제4장 도매시장 현대화사업 추진 기본계획
      제5장 현대화사업 관련 도매시장 유통종사자 견해
      제6장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의 관리·운영 효율화 방향
      제7장 현대화사업 건축 관련 기본계획

    요약문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은 개장 이후 부산지역의 중추적 농산물 도매기구로써 그 위상을 구축해 왔다. 그러나 제한된 기능과 낙후되고 부족한 시설 상태로 인해 급속한 유통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한계를 노출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의 글로벌 지향의 경쟁력 제고, 거래 활성화, 다양한 기능 수행을 위한 시설현대화와 규모 확충, 다양한 이용자 니즈 충족을 위해 시장 리모델링 기본계획 수립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급변하는 유통환경과 국제도시화 과정에서 엄궁농산물도매시장이 부산을 포함한 국토 동남부지역의 중추적 도매유통기구로 발전하기 위한 합리적 리모델링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전창곤 (Jeon, Changgo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41697 0 0 2 1
    • 
														    농촌경제 제44권 제4호

      농촌경제 제44권 제4호
      KREI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0 발간 보고서 요약집

      2020 발간 보고서 요약집
      KREI
      2021.02.28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비 변화에 대응한 식량정책 개선 방안

      소비 변화에 대응한 식량정책 개선 방안
      김종진
      2018.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닭고기 산업 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닭고기 산업 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지인배
      2017.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수입곡물 가공 산업의 구조 및 시장성과 분석-식품소재 산업을 중심으로-

      수입곡물 가공 산업의 구조 및 시장성과 분석-식품소재 산업을 중심으로-
      김종진
      2016.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우와 돼지고기 수요변화 요인 분석

      한우와 돼지고기 수요변화 요인 분석
      지인배
      2015.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2014년 중국의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14.03.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2013년도 중국의 농산물 품목분류 및 관세율
      전형진
      2013.04.26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축산물 수출시장 확대 방안
      우병준
      2010.1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통계로 본 한국농업의 국제비교 연구
      김연중
      2008.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비 변화에 대응한 식량정책 개선 방안

      소비 변화에 대응한 식량정책 개선 방안
      김종진
      2018.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2020 발간 보고서 요약집

      2020 발간 보고서 요약집
      KREI
      2021.02.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육류 소비구조의 변화와 전망
      이계임
      1999.12.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촌경제 제44권 제4호

      농촌경제 제44권 제4호
      KREI
      2021.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쇠고기 수입자유화와 한우산업 발전방안
      허덕
      2000.12.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농업전망 2007 (II) : 한국농업·농촌, 밝은 미래를 연다
      KREI
      2007.01.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동북아 농업구조와 역내 농산물 교역구조
      어명근
      2003.12.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식품소비통계조사 표본설계방안 연구
      이용선
      1999.12.
      KREI 보고서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주요 농산물의 대일 수출 증대방안
      성명환
      1998.12.
      KREI 보고서

      더보기

    • 
														    닭고기 산업 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닭고기 산업 발전 중장기 계획 수립 연구
      지인배
      2017.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림수산 서비스산업 발전방안 연구
  • 이전글 농업부문의 녹색성장포럼 자료집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