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학술지(농촌경제)

제4유형
  • 암소도축률을 이용한 한우 중·장기 수급모형 연구
  • 
						    암소도축률을 이용한  한우 중·장기 수급모형 연구

    저자
    전상곤 , 박동주
    등록일
    2022.03.30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이 연구는 한우 수급모형 정교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한우 사육두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가격 하락에 대한 불안감이 산지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현 상황에 불안한 사육 심리와 한우산업의 안정을 위해 중·장기 모형을 개발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우 중·장기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이력제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연구와 선행연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육두수를 기반으로 모형을 구성한 것이 아니라 율(률)의 개념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조화한 것이다. 즉, 특정 시점...

  • 목차

    • 1. 서론
      2. 이론적 모형과 분석 방법
      3. 분석 결과
      4. 요약 및 결론

    요약문

    이 연구는 한우 수급모형 정교화를 위해 수행되었다. 최근 한우 사육두수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이에 따른 가격 하락에 대한 불안감이 산지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현 상황에 불안한 사육 심리와 한우산업의 안정을 위해 중·장기 모형을 개발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우 중·장기 모형을 수립하기 위해 이력제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한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 연구와 선행연구의 가장 큰 차이점은 사육두수를 기반으로 모형을 구성한 것이 아니라 율(률)의 개념을 이용하여 모형을 구조화한 것이다. 즉, 특정 시점의 저량(사육두수)과 특정 기간의 유량(출생두수, 도축두수 등)의 개념을 율(률)로 환산하고 이를 변수화하여 모형의 주요 변수로 선택하였다. 이 모형의 장점은 한우 사육 구조의 구조적 변화, 농가의 위험성에 대한 우려가 모델에 쉽게 반영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개발된 모델은 농가의 중·장기 사육 의도와 한우산업의 수급 상황을 보다 쉽게 예측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나아가 이 연구를 통한 기초자료를 이용하여 중·장기 수급 안정을 위한 적절한 대응방안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refine the forecast model for Korean cattle supply and demand amid concerns about price drops due to a steady increase in Korean cattle breeding. Also, our research aims to contribute significantly to refining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breeding and slaughtering status in the Korean cattle industry.
    This study established a ‘mid-to-long-term forecast model for Korean beef supply and demand, far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by using slaughter rates instead of the number of cattle heads. In addition, the model successfully reflects concerns about farmers’ risks and structural changes in the current Korean beef breeding structure. As a result, the model we devised through our research will make it easier to forecast farmers’ mid-to-long-term breeding intentions and the supply-demand status in the Korean beef industry.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전상곤 (Jeon, Sanggon)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8174 4 194 0 0
    •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농작물재해보험의 국가재보험 수익 분담 비율에 관한 분석
      채홍기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신품종 과일류에 대한 지불의사와 수요의 탄력성 추정: 수량 선택실험 분석
      용희원
      2023.03.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권오상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임산부 친환경농산물 지원 시범사업 수혜자 만족도 영향 요인 분석
      홍연아
      2022.12.30
      KREI 논문

      더보기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미국 곡물 수출시장의 비대칭적 가격전이와 시장지배력 분석 - 한국과 일본을 중심으로 -
      승준호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암거배수시설 설치사업의 성과평가 및 경제성 분석
      민선형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Impact of Captive Supply on Cash Price in the U.S. Cattle Procurement Market: A Dynamic Modeling Approach
      이정민
      2022.09.30
      KREI 논문

      더보기

    •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수입곡물의 물가영향 및 공급지장효과 분석
      이용건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건강식품과 인삼·홍삼제품의 소비의향 및 소비행위 요인 분석

      건강식품과 인삼·홍삼제품의 소비의향 및 소비행위 요인 분석
      주종윤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공공급식 자기부담금이 친환경/지역산 식재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공공급식 자기부담금이 친환경/지역산 식재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
      홍연아
      2022.06.30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FTA를 하면 사회후생은 항상 증가하는가
      김윤식
      2008.01.
      KREI 논문

      더보기

    • 보고서 이미지 없음

      한·미 FTA가 유가공품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치즈 및 버터 시장을 중심으로
      김성훈
      2008.10.
      KREI 논문

      더보기

    •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기상환경 변화가 배추·무 단수와 가격변동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최병옥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농촌경제 제43권 제3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농촌경제 제43권 제1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역 귀농·귀촌 의향과 결정에 미치는 요인 분석
      최원실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쌀 소득보전직불제의 생산연계효과 실증분석
      이문호
      2020.03.31
      KREI 논문

      더보기

    •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커피 생두의 계절별 수요 분석
      주준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북한 쌀 시장의 효율성 검정
      김상덕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지속가능한 축산에 대한 지불의향 분석
      성재훈
      2020.09.30
      KREI 논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소비역량과 식품안전 인식이 원산지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
  • 이전글 농식품 수출업체의 온라인 수출 참여 및 투자의향 요인 분석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