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 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4유형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 연구

    임업

    과제성격
    연구보고 (R955)
    저자
    안현진 , 이상민; 정호근; 김동욱
    등록일
    2023.03.27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전 세계적으로 이상고온 현상, 국지성 폭우 등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늘어나면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감축을 선언하고 참여국 확대와 의무 이행을 독려하고 있으며 탄소 국경세, 탄소 배출권 거래제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 전 세계 11위, OECD 회원국 중 5위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노력이 중요하다. 산림 분야는 주요 탄소흡수원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국내 산림의 노령화로...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산림탄소흡수 및 정책 현황
      제3장 해외 탄소중립 정책
      제4장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CSF)을 위한 한국형 지표 개발
      제5장 기후 스마트 산림(CSF) 기반 탄소중립 산림경영 시나리오
      제6장 탄소중립과 CSF를 위한 정책과제
      제7장 결론 및 요약

    요약문

    전 세계적으로 이상고온 현상, 국지성 폭우 등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늘어나면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움직임이 대두되고 있다. 국제사회는 온실가스 감축을 선언하고 참여국 확대와 의무 이행을 독려하고 있으며 탄소 국경세, 탄소 배출권 거래제 등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18년 기준 전 세계 11위, OECD 회원국 중 5위 수준의 온실가스 배출국이다.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 분야의 노력이 중요하다. 산림 분야는 주요 탄소흡수원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국내 산림의 노령화로 탄소흡수량은 해마다 감소하고 있다. 산림은 또한 생태서비스, 목재 등 다양한 유전자원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에는 산림의 탄소흡수력 증진과 함께 산림의 다양한 혜택을 포괄적으로 누리는 산림관리 전략이 요구될 것이다.

    이 연구는 산림탄소흡수력 증진과 함께 산림의 다양한 혜택의 동반효과를 누리는 기후 스마트 산림경영을 우리나라 산림관리에 도입하기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저자에게 문의

    안현진 이미지

    저자소개
    안현진 (An, Hyunjin)
    - 부연구위원
    - 소속 : 산림경제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2904 1 358 1 1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손학기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구자춘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산지관리제도 운영 실태와 과제
      손학기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산림복지서비스 전달체계 개선방안
      구자춘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5/10차년도) - 산지지형 공간구조와 산줄기 위계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지방분권 대응 협력적 산림정책의 전략과 과제
      구자춘
      2022.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주요 지자체 국토생태축과 7단계 백두대간 산줄기 위계DB 비교 - 국가·광역·지역·시군구 산줄기를 중심으로
      손학기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농업·농촌 정책 고도화를 위한 정보지원체계 구축 방안(6/10차년도) : 산림통합관리권역 DB 구축을 중심으로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광역·지역 산림통합관리권역별 산림기초정보자료집
      손학기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농축산물 가격 변동에 대응한 효율적인 위험관리 수단 연구 부속 연구서
  • 이전글 농촌의 포용성장과 사회혁신을 위한 사회적 경제 전략 - 설문 조사 결과 보고서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