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쇠고기 산업의 구조와 발전 방안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연구보고 (R599)
    저자
    우병준 , 전상곤; 김현중; 채상현
    등록일
    2009.10.01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UR 협상 이후 축산물 시장의 개방과 경제·인구·사회적 특성의 변화에 의해 쇠고기 소비와 유통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는 과거와 달리 양보다는 품질과 안전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생산자는 쇠고기의 품질고급화와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08년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입위생조건 개정을 전후해 국내 산지 소 값과 쇠고기 소비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그 변화의 파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새로운 정책 및 제도 도입과 쇠고기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가 일정 부분 작...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쇠고기 산업의 여건 변화와 현황
      제3장 쇠고기 산업 참여주체의 시장행태 분석
      제4장 쇠고기 산업의 시장구조 변화 분석
      제5장 쇠고기 산업의 발전 방안
      제6장 요약 및 결론
      부록
      참고 문헌

    요약문

    UR 협상 이후 축산물 시장의 개방과 경제·인구·사회적 특성의 변화에 의해 쇠고기 소비와 유통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소비자는 과거와 달리 양보다는 품질과 안전성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생산자는 쇠고기의 품질고급화와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특히 2008년 미국산 쇠고기에 대한 수입위생조건 개정을 전후해 국내 산지 소 값과 쇠고기 소비에 큰 변화가 있었으며, 그 변화의 파장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새로운 정책 및 제도 도입과 쇠고기 시장의 구조적인 변화가 일정 부분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국내산 쇠고기의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인 발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쇠고기 시장의 대내외 여건 변화와 이에 대응하는 시장참여주체의 다양한 반응을 관찰해야 한다.
    이 연구보고서에서는 기존의 생산단계 중심의 시각에서 벗어나 쇠고기 시장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시장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산업의 경쟁력 확보 방안과 미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산 쇠고기 시계열 자료의 분석과 생산자인 브랜드경영체 및 소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종합적으로 이용하여 쇠고기 산업의 구조를 분석했다. 이러한 쇠고기 산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쇠고기의 생산, 유통, 소비단계별 발전 방안을 제시하였다.

    저자정보

    우병준 이미지

    저자소개
    우병준 (Woo, Byungjoon)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자원환경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우병준 이미지

    저자소개
    우병준 (Woo, Byungjoon)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자원환경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6628 0 37 0 0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
      202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김영준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