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수시연구과제

제4유형
  • 식품산업분야 재정지원체계 개편 연구
  • 보고서 이미지 없음

    과제성격
    수탁연구(C) (C2014-74)
    저자
    황의식 , 유찬희; 허주녕; 전지연
    등록일
    2014.12.30
  • 식품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와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최근 10년 동안 식품제조업은 연평균 6.8% 성장하였고, 농식품 수출도 79억불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은 소규모 영세업체가 식품제조업의 92%를 차지하고, 식품가공원료의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농업과 연계가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주요 정책 과제로 식품산업 인프라 확충, 농어업과의 연계강화, 글로벌 경쟁력 강화, 소비자 정보제공 및 보호를 설정하고 각 분야별 세부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14년 新식...

  • 목차

    • 제1장 서론
      제2장 식품산업 현황분석
      제3장 식품산업 정책 현황 및 과제
      제4장 주요 사업별 성과평과와 과제
      제5장 식품산업육성정책 중요도 분석: AHP분석
      제6장 중소기업육성 지원제도 현황
      제7장 식품산업분야 재정지원체계 개선방안

    요약문

    식품산업이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와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최근 10년 동안 식품제조업은 연평균 6.8% 성장하였고, 농식품 수출도 79억불로 두 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식품산업은 소규모 영세업체가 식품제조업의 92%를 차지하고, 식품가공원료의 절반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농업과 연계가 미흡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주요 정책 과제로 식품산업 인프라 확충, 농어업과의 연계강화, 글로벌 경쟁력 강화, 소비자 정보제공 및 보호를 설정하고 각 분야별 세부과제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2014년 新식품정책의 수립으로 식품공급 및 식품안전성 중심의 식품산업육성 정책에서 국민 건강·영양, 식생활 문화 등 식품 분야 정책대상을 확대하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농식품수출에서 신선 및 가공식품의 수출 확대를 위한 식품산업의 육성정책에서 재정지원체계는 시설투자에 대한 보조지원과 저리융자지원 그리고 R&D보조지원 및 식생활교육지원 등의 방식으로 지원되고 있다.

    식품산업육성정책분야 재정지원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식품산업육성정책 전체의 관점에서 재정지원체계를 종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요 농식품 재정사업을 주요 정책군으로 구분하여 효과분석과 심층평가를 실시하고, 해당 정책군의 산업여건 변화와 정책수요에 대응한 예산 배분 및 집행체계의 개편 방안을 마련하였다.

    저자에게 문의

    이미지가 없습니다

    저자소개
    황의식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 퇴사하신 분이지만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 주시면 관리자가 전달해드리겠습니다.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29023 1 0 1 0
    •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농업·농촌 향토자원의 지식재산권 강화 방안
      김용렬
      2023.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농식품 분야 민간금융 활용방안과 과제
      임소영
      2023.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한국 농업 특화 CGE 농업경제분석 모형 개발 기초 연구
      이명기
      2023.07.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농업생산성 제고를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
      박지연
      2023.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일반식품 기능성 표시제 현황과 시사점
      최윤영
      2022.12.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스마트농업 확산에 대응한 농업인 역량 강화 방안
      허정회
      2022.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청년 대학생의 농촌 인식과 유입 의향 조사
      마상진
      2021.10.30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농업회의소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김정섭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시·군 지자체 농지관리 거버넌스 운용 및 제도화 방안
      김수석
      2021.09.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청년농의 영농정착을 위한 농지 지원 방안
      임소영
      2021.11.30
      KREI 보고서

      더보기

    •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푸드테크 산업의 혁신 트렌드와 미래전망
      홍연아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고향사랑기부제 활성화를 위한 과제
      국승용
      2022.08.30
      KREI 보고서

      더보기

    •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소득 기반 경영안정제도 도입 방안
      임소영
      2023.03.09
      KREI 보고서

      더보기

    •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신규 진입농의 유동성 제약에 관한 연구
      김영준
      2022.04.30
      KREI 보고서

      더보기

    •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EU 공동농업정책 개편 과정과 시사점: 직불제를 중심으로
      유찬희
      2023.06.28
      KREI 보고서

      더보기

    •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농가의 소득구조 및 소비성향 분석
      박미선
      2023.05.30
      KREI 보고서

      더보기

    의견남기기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