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김장철 가구당 배추 구입량 전년보다 감소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가구 소비자 패널의 김장 의향 조사 결과, 2023년 김치를 직접 담그는 비율은 63.3%로 전년(65.0%) 대비 감소함.
• 4인 가족 기준, 김장용 배추 구매 의향량은 19.9포기로 전년 대비 8.9%(1.9포기) 감소, 무는 8.5개로 1.2%(0.1개) 증가함.
• 김장 의향 감소로 핵심 부재료인 건고추 구매량도 전년 대비 4.6% 감소, 반면, 마늘은 가격 약세에 따른 김장 이외의 가정 내 저장 수요 늘면서 3....
2023년 김장철 가구당 배추 구입량 전년보다 감소 전망
•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가구 소비자 패널의 김장 의향 조사 결과, 2023년 김치를 직접 담그는 비율은 63.3%로 전년(65.0%) 대비 감소함.
• 4인 가족 기준, 김장용 배추 구매 의향량은 19.9포기로 전년 대비 8.9%(1.9포기) 감소, 무는 8.5개로 1.2%(0.1개) 증가함.
• 김장 의향 감소로 핵심 부재료인 건고추 구매량도 전년 대비 4.6% 감소, 반면, 마늘은 가격 약세에 따른 김장 이외의 가정 내 저장 수요 늘면서 3.1% 증가함.
김장 의향 감소의 주요 요인은 김치 소비량 감소와 시판김치의 편리성 때문
• 김장 의향 감소의 주된 요인은 김치 소비 감소(45.6%), 시판김치 구매의 편리성(23.1%), 가정 내 재고 보유(13.6%) 등임.
• 시판김치 구매 이유는 필요량 만큼 구매가 가능(54.5%)하고 김장의 번거로움 해소(32.8%) 순임.
2023년 김장배추 형태별 구매 비율은 절임배추(56.1%)가 절반 이상
• 김장배추 형태별 구매 비율은 절임배추 56.1%, 신선배추 41.3%, 신선배추와 절임배추 같이 구매 2.6%임.
• 절임배추는 구매 비율 증가 추세에 있으며, 신선배추와 같이 구매하는 경우에도 절임배추 사용 비율이 증가함.
11월 중순 이후부터 출하 지역 확대되어 김장철 배추 출하량 평년 수준 근접
• 가을배추는 10월 하순부터 시작되며 출하 지역이 점차 확대되어 본격 김장 시기인 11월에 전국 출하함.
• 배추 11월 출하량은 상순까지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보이나 중·하순에는 출하 지역이 확대되면서 평년과 비슷할 전망임.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교보문고 | http://www.kyobobook.co.kr/ |
---|---|
영풍문고 | http://www.ypbooks.co.kr/ |
알라딘 | http://www.aladin.co.kr/ |
상세정보 조회 | 좋아요 | 다운로드 | 스크랩 | SNS공유 |
---|---|---|---|---|
1386 | 0 | 238 | 1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