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현안분석

제4유형
  • 한·EU FTA 이행 10년, 교역 동향 및 수입구조 변화와 시사점
  • 
						    한·EU FTA 이행 10년, 교역 동향 및 수입구조 변화와 시사점

    저자
    김경필 , 남경수; 명수환; 구혜민
    등록일
    2021.10.13

    ※ 원문보기 클릭 시 에러가 나는 경우 조치 방법 : "고객센터 - 자주하는 질문" 참조

  • 2011년 7월 발효된 한·EU FTA는 대부분 품목의 관세를 10년에 걸쳐 인하 또는 철폐하는 것으로 협상하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국내보완대책도 10년간 시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음. 따라서 본 리포트는 한·EU FTA가 발효된 지 10년이 경과된 시점에서 한·EU의 교역 동향을 살펴보고, FTA 발효 전/후 수입구조 변화 여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한·EU FTA의 농식품 개방 수준(96.3%)은 우리나라가 발효한 FTA 중 한·미 FTA(97.9%) 다음으로 가장 높으며, 이행 10년차 수입과 ...

  • 목차

    • 1 서론
      2 한·EU 농식품 교역 동향
      3 주요 품목별 교역 동향
      4 주요 품목별 수입구조 변화
      5 요약 및 시사점

    요약문

    2011년 7월 발효된 한·EU FTA는 대부분 품목의 관세를 10년에 걸쳐 인하 또는 철폐하는 것으로 협상하였으며, 이에 대응하여 국내보완대책도 10년간 시행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음. 따라서 본 리포트는 한·EU FTA가 발효된 지 10년이 경과된 시점에서 한·EU의 교역 동향을 살펴보고, FTA 발효 전/후 수입구조 변화 여부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한·EU FTA의 농식품 개방 수준(96.3%)은 우리나라가 발효한 FTA 중 한·미 FTA(97.9%) 다음으로 가장 높으며, 이행 10년차 수입과 수출 모두 발효 전 평년 대비 증가함.
    • 한·EU FTA 이행 10년차 EU산 농식품 수입은 49억 달러로 발효 전 평년 대비 132.4% 증가
    • 한·EU FTA 이행 10년차 對EU 농식품 수출은 3.3억 달러로 발효 전 평년 대비 65.7% 증가

    한·EU FTA 이행 10년차 EU산 농식품의 FTA 수입 특혜관세활용률은 83.1%, 우리나라 농식품의 對EU FTA 수출 특혜관세활용률은 63.9%였음.
    • 이행 10년차 EU산 농식품 전체 수입액에서 ‘FTA 대상 품목’의 수입액은 46.8억 달러이며, 그중 FTA 특혜관세활용 수입액은 38.9억 달러(83.1%)로 나타남.
    • 이행 10년차 우리나라의 對EU 농식품 수출액은 3.3억 달러이며, 그중 FTA 특혜관세활용 수출액은 2.1억 달러(63.9%)로 나타남.

    한·EU FTA 발효 이후 주요 농식품 수입은 FTA 발효 이전에 비해 중장기적 결정구조를 보임.
    • FTA 발효 전/후를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당월 EU산 수입량은 전월뿐만 아니라 2~3개월 전 수입량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어, FTA 발효 이후 EU산 수입량이 단기에서 중장기적 구조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남.
    • 이를 통해 향후 EU산 농식품 수입량의 변동성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음.

    EU산 농축산물 수입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보완대책 등으로 국내 농업 경쟁력이 일정 수준 확보된 상황이므로 수입보다 수출 증대를 고려할 시점인 것으로 판단됨.
    • EU산 농축산물의 수입특혜관세활용률은 80%를 넘어섰으나, 수출특혜관세활용률은 64% 수준에 그침. 따라서 수입 피해에 대응한 정책보다 국내 농축산물 수출 경쟁력을 확보하는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임.

    저자에게 문의

    김경필 이미지

    저자소개
    김경필
    - 선임연구위원
    - 소속 : 유통혁신연구실
    저자에게 문의

    보고서 이미지

    게시물 작성 입력폼

    구매안내

    KREI의 출판물은 판매 대행사 (정부간행물판매센터)와 아래 서점에서 구입 하실 수 있습니다.

    판매대행사
    (주)정부간행물판매센터http://www.gpcbooks.co.kr사이트 바로가기
    서울특별시 중구태평로 1가 25번지
    TEL 02) 394-0337, 734-6818
    FAX 02) 394-0339
    판매서점
    판매서점
    교보문고 http://www.kyobobook.co.kr/
    영풍문고 http://www.ypbooks.co.kr/
    알라딘 http://www.aladin.co.kr/


    활용도 정보
    활용도 정보
    상세정보 조회 좋아요 다운로드 스크랩 SNS공유
    12050 3 512 2 4
    •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디지털 농업을 위한 데이터 활용도 제고 방안 및 시사점
      민선형
      2023.05.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업 고용인력 최근 동향과 시사점

      농업 고용인력 최근 동향과 시사점
      마상진
      2023.04.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농촌 주민의 난방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농촌 주민의 난방 실태와 정책적 시사점
      심재헌
      2023.03.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최근 한우 가격 하락 원인과 전망

      최근 한우 가격 하락 원인과 전망
      이형우
      2022.12.0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한·중 수교 30년, 농식품 교역 동향과 협력 과제

      한·중 수교 30년, 농식품 교역 동향과 협력 과제
      김경필
      2022.11.2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2년 김장 의향 및 김장 배추·무 공급 전망

      2022년 김장 의향 및 김장 배추·무 공급 전망
      김원태
      2022.11.0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2021년 귀농·귀촌 동향과 시사점
      송미령
      2022.10.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쌀 시장격리 의무화의 영향 분석
      김종인
      2022.09.3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주요 농자재 가격 동향과 시사점

      주요 농자재 가격 동향과 시사점
      서대석
      2022.09.19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배출권거래시장 기반의 농업부분 감축사업 현황과 시사점

      배출권거래시장 기반의 농업부분 감축사업 현황과 시사점
      정학균
      2022.09.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2019년 농가경제 실태와 시사점
      유찬희
      2020.08.2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 중단 대응과정과 시사점
      정학균
      2020.07.16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중국 2020년 양회 결과, 농업·농촌정책 방향과 시사점
      정정길
      2020.07.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식품 소비분야 영향분석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농식품 소비분야 영향분석
      김상효
      2020.05.20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2020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2020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국승용
      2020.11.1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식·학교급식 분야의 농식품 소비변화 분석

      코로나19 발생 이후 외식·학교급식 분야의 농식품 소비변화 분석
      김상효
      2020.06.08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5G 시대, 농업‧농촌의 변화

      5G 시대, 농업‧농촌의 변화
      김용렬
      2019.08.02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가축분뇨 자원화 여건 변화와 대응과제

      가축분뇨 자원화 여건 변화와 대응과제
      김현중
      2020.11.23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타결과 농업부문 시사점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 타결과 농업부문 시사점
      석준호
      2020.03.04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와 농업부문 시사점

      미·중 무역분쟁 1단계 합의와 농업부문 시사점
      조성주
      2020.02.07
      KREI 이슈리포트

      더보기

    의견남기기

  • 다음글 2021년 김장 의향 및 김장채소류 수급 전망
  • 이전글 2020 농가경제 변화 실태와 요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