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구제역 발병과 축산농가의 한숨
4177
기고자 이정민
KREI 논단| 2010년 12월 03일
이 정 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원)

 

 11월 29일 경북 안동에서 구제역이 발병하였다. 구제역이 발병한 농장 2곳은 각각 돼지 5,500마리와 3,500마리를 사육하고 있는 농장이라고 한다. 이어 약 8㎞가량 떨어진 한우농가에서도 구제역이 추가로 발병하였다. 올해 초 구제역 발병으로 축산농가의 주름살이 한층 깊어졌는데, 또다시 등장한 구제역 소식으로 농가의 주름살은 도무지 펴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구제역이 과연 어떠한 질병이길래 한번 등장할 때마다 이렇게 난리인지 자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구제역(口蹄疫)은 발굽이 2개로 갈라진 우제류(소, 돼지, 양, 염소, 사슴 등)에 주로 전염되는 질병으로써, 국제수역사무국(OIE)에서도 가장 위험한 가축 전염병으로 분류한 바 있다. 감염되면 입(口)과 발굽(蹄) 주변에 물집이 생긴 뒤 사료를 잘 먹지 않고 거품 섞인 침을 흘리고, 잘 일어서지 못하고 앓다가 죽는 병이다. 치사율은 최고 55%에 달하는, 그야말로 치명적인 질병이지만 다행히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는다.

 

구제역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2001년 영국에서 시작된 구제역 파동은 상당히 심각하였다. 당시 구제역은 동남아시아와 남미까지 확산되었으며, 영국에서는 총선이 연기되고 각종 운동경기 일정이 취소되기까지 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구제역 발병의 예외는 아니어서 일제시대인 1934년에 구제역이 발생한 기록이 있으며, 이후 2000년과 2002년, 2010년 상반기에도 발병하였다. 특히 2000년에는 경기도 파주에서 시작된 구제역이 충청도까지 남하하면서 엄청난 피해가 있었다.

 

그렇다면 이러한 구제역을 예방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아쉽게도 특별한 예방책은 없다. 대신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병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는 방법 정도가 구제역 예방책이다. 예를 들어 유행성 독감이 유행할 경우, 우리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을 피하고, 예방접종을 맞으며,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바이러스 침범을 막는다. 이러한 방법은 그대로 구제역 예방에 적용된다. 첫째, 구제역이 국내에 유입되지 않도록 구제역 발생국가 방문 및 축산물 수입이 금지된다. 둘째,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고, 셋째, 축사의 사육 환경을 청결히 유지한다. 그러나 구제역 백신을 접종하더라도 면역 지속 기간은 6개월밖에 지속되지 않는다는 점과 현재의 상업화된 사육환경에서 비롯된 밀집사육 및 비위생적인 축사 등의 현실을 볼 때 앞의 두 번째와 세 번째 방법은 한계가 있다.

 

그렇다면 앞서 이야기한 구제역의 국내 유입을 철저히 차단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이라 할 수 있다. 실례로, 지난 2010년 상반기에 포천에서 발병한 구제역은 농장주가 동북아시아 국가 여행 후 유입된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였다고 조사된 바 있다. 구제역 바이러스가 신발 및 의복에서 60~100일 생존할 수 있기 때문에 해외여행에서 전파된 바이러스가 국내에 감염을 일으키는 것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다.

 

구제역을 예방하여 애초에 발병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지만, 일단 발병하고 나면 그 피해는 겉잡을 수 없다. 지난 2000년에는 우제류 2,223두, 2002년에는 돼지 16만 두가 살처분되었으며, 직접적인 피해액은 2000년에 3,006억 원, 2002년에는 1,436억 원이 발생했다.

 

이번 구제역이 축산물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지난 2000년과 2002년에 국내 발병 사례를 살펴보면 몇가지 단서를 찾을 수 있다. 구제역 발병 시기 이전과 이후를 비교해 본다면, 2000년의 경우 구제역 발병 이후 돼지고기 가격은 18% 하락한 반면, 2002년의 경우는 발병 이후 오히려 2% 상승하였다. 이것은 당시 구제역 발생 시 살처분 가축에 대한 보상, 수출 반송분 수매, 긴급 경영자금 지원 등 소득 및 가격 지지 정책을 실시하고 소비자에 대한 홍보를 집중적으로 실시한 결과 홍수 출하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가격도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번 구제역 발병에도 실효성 있는 정부의 정책 집행과 함께 축산농가와 소비자가 과잉반응을 자제한다면 구제역 파급영향은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