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KREI 논단

KREI 논단 상세보기 - 제목, 기고자, 내용, 파일, 게시일 정보 제공
농업의 6차 산업화,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6565
기고자 김태곤
농경나눔터 농정시선 | 2013년 4월호
김 태 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위원)

농업은 농촌지역의 기간산업이다. 지금 농업은 두 가지 압력에 의해 축소산업의 길을 걷고 있다. 하나는 보편화하고 있는 고령화이고 다른 하나는 FTA 등에 의한 시장개방이다. 이로 인해 농업부문의 일자리가 줄어들고 소득이 감소하는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반전하여 생활의 질을 높여나가는 길이 일자리 창출이다. 일자리는 자기실현이면서 사회참여이고 공동체 기능을 형성하는 기회다. 체력이나 능력에 맞는 일자리를 만들어 고령자를 비롯하여 지역주민에게 제공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고령화하는 농촌에서 일자리가 최상의 복지

 

  농업은 농산물 생산에서 특산품 가공, 그리고 판매, 관광, 체험 등 각종 서비스를 생산하여 지역에서 일자리와 소득을 창출하는 역할은 물론, 지구온난화와 식량위기, 석유고갈 등 지구위기를 타개하는 역할도 기대된다. 또한 도시에서 돌아오는 귀농자를 수용하는 역할까지도 요구된다. 이러한 역할은 농업의 비즈니스화라는 과정을 통하여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최근 현장에서 6차 산업화가 확산되고 있다.

 

  농업은 종래 생산측면이 강조되었다. 2차 산업의 식품가공은 도시지역 식품제조업의 영역으로, 또 3차 산업의 식품유통, 관광, 관련 정보 등도 도시의 도소매업, 관광산업, 정보산업의 영역으로 취급되어 왔다. 그 결과 농업에서 파생하는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도시나 공업부문으로 이전되어 농업성장은 정체하거나 축소하는 길을 걷게 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품산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나 농업소득이나 농촌고용과 무관한 것도 이 때문이다.

 

  6차 산업화는 농업의 생산·가공·서비스의 단순한 집합(1+2+3=6)이 아니라 이들 산업의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융합(1×2×3=6)을 의미한다. 지역단위에서 이들 3자가 유기적인 관계를 맺어야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지역에서 농업이 쇠퇴하여 1차 산업이 소멸하면 6차 산업은 성립할 수 없다. 농업이 활력을 가지고 건전하게 존재해야만 6차 산업이 성립한다는 의미다.

 

  6차 산업화를 어떻게 추진할 것인가. 먼저 고령 노동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대응해야 한다. 고령자의 체력에 적합한 일자리를 만들어서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6차 산업화의 출발점이다. 일자리는 연중 제공되어야 한다. 지역을 단위로 다양한 작목을 도입하는 '복합경영'으로 전환하되, 농한기 일자리를 위해서는 노지농업과 시설농업이 병행되어야 한다. 이것이 다양한 종류의 원료 생산에서 가공품 개발로, 그리고 유통·교류·판매 등 '다각경영'으로의 비즈니스 확장을 통하여 일자리를 만들고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지역고유의 자원을 발굴·활용해야

 

  특히 가공이나 판매는 여성이나 고령자에게 적합한 일자리다. 이와 같은 생산자 주도의 6차 산업화가 정착하면 지역의 식품제조업이나 소매업자 등과 연대하는 '농공상연대'를 통하여 지역에서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는 동시에 순환경제를 구축하여 지역활성화에 공헌할 수 있다.

 

  6차 산업화의 소재는 지역자원이다.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사회가 요구하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공급함으로써 수익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지역 고유의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다른 지역과 경합성을 피하면서 차별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지역자원이란 인적자원, 농림수산물, 경관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마을공동자산이나 전통적인 문화, 기술, 자본, 신뢰 등도 비즈니스 소재로서 활용된다. 햇빛이나 물, 바람 등도 재생가능한 에너지를 생산하여 지역에서 소비하는 '로컬에너지' 관점에서 보면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다양한 비즈니스모델로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6차 산업화는 수평적 다각화로서 지역복합경영, 수직적 다각화로서 6차 산업화, 농공상연대, 프랜차이즈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영농조합법인의 프랜차이즈가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수직적 다각화는 농업 생산(1차 산업), 특산품 가공(2차 산업), 농산물 유통·관광·교류(3차 산업) 등으로 비즈니스 영역의 확장을 말하며, 단계별로 다양한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 도농교류와 직거래 등도 판로면에서 유리한 점이 있다. 생활편의 제공, 고령자 복지서비스 공급, 육아·간병 등의 사회복지서비스 제공과 지역자원의 보전과 관리 등 공익부문도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으로서 성장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비즈니스의 주체는 지역주민이 되어야 한다. 고령자나 여성 등을 포함한 지역주민의 주도로 전업농이나 귀농자, 지역농협 등이 참여하는 조직의 설립이 바람직하다. 조직을 설립하여 경영을 정착하는 초기단계에는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중요하다.

 

  비즈니스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소규모 비즈니스에서 출발하여, 지역자원 관리나 복지서비스 제공 등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역의 수요에 대응하는 비즈니스를 전개하되, 영리성을 기본으로 하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공익성으로 확장해 나가는 것이 안전성이 높다. 즉 작은 사업에서 출발하여 작은 성공을 얻는 것이 지속성을 가지며, 다음 단계로 성장하기 위한 에너지가 된다.

 

파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