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임업관측정보

제4유형
임업관측정보 상세보기 - 카테고리, 제목, 파일, 내용 정보 제공
2010_ 04표고버섯관측월보
 년   월
파일
 
 
 
신규접종 골목본수 및 자가벌채 비율 증가
원목재배가 감소하고 톱밥배지 생산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원목재배 임가 중 노후화된 자목처리를 대체하기 위한 신규접종 골목본수는 작년 대비 약 5%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규 접종희망자 중 26.8%가 자가벌채를 통해 표고자목을 마련할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자목가격의 상승으로 수익성이 악화됨에 따라 직접 표고자목을 마련하는 임가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신규접종 골목 본 수 및 자가벌채 비율
 
구분 2009년도 2010년도
접종 골목 본 수(본) 647,700 682,600
접종 희망자 중 자가벌채 비율(%)

17.9

26.8
 

주1: 표본임가 조사치(2월 19일 ~ 3월 3일)
주2: 2009년은 표본임가의 접종 본 수 이며 2010년은 접종희망 본 수 임.

 
신규접종 계획 저온성이 많아
표본임가 조사결과 버섯발생 온도형별 신규 접종계획은 저온성 70.2%, 중온성 11.4%, 중고온성 9.6%, 고온성 8.8%로 작년과 마찬가지로 저온성 위주의 접종이 주를 이룰 것으로 보인다.
제주, 전남, 강원 지역은 생산비 절감, 충남, 충북지역은 고소득 창출을 위해 저온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온성은 품질이 다소 떨어지고 인건비 등 생산비 비중이 높은 반면, 저온성은 건표고 생산에 용이하며 생산비가 다소 경감됨으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생산량 감소, 품질은 양호
지역적으로 재배규모가 감소하고, 품종에 따라 중고온성 품종 감소와 저온성 품종은 건표고 생산을 위한 생산 억제 등으로 생표고 생산량은 8.1% 감소하였다. 품질은 맑은 날이 많아 전반적으로 양호하였다.
표고버섯 가락시장 반입 비율은 원목 표고 85%, 톱밥배지 표고 15%(전월 30%) 수준이었으며 저온성 원목 표고 생산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신규 접종 종균의 지역별 구성 비율
 
 

주: 표본임가 조사치(2월 19일 ~ 3월 3일)

 
2월 생표고 생산량 감소, 품질은 양호
추위 등 기상여건 변화와 표고자목의 노목비율 증가로 2월 생표고 생산량은 작년 동기대비 6.4% 감소하였다.
품질은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잦은 비로 인한 습도 등 기상여건이 좋지 못하여 전반적으로 보통수준 이었다.
 
2월 생표고 생산량 및 품질 응답률
  단위 : %
 
작년대비 생산량 증감률 작년대비 품질 응답률
전국 강원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좋음 보통 나쁨
-6.4 - 0.0 0.0 -8.8 7.5 -5.0 4.0 -40.0 0.0 38.2 45.5 16.4
 

주1: 표본임가 조사치(2월 19일 ~ 3월 3일)
주2: “-”는 무응답임.

 
3월 중순이후 표고 생산량 감소 전망
생표고 생산량은 2008년도 중온성 계열 접종 감소와 추위, 일조량 부족 등 기상여건 변화로 봄 버섯 발생이 늦어지면서 감소할 전망이다.
건표고 생산량은 수출물량 확보로 가격이 상승하는 등 생산량 증가 요인이 있으나 노목비율 증가와 기상여건 변화로 소폭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3월 중순이후 품질은 잦은 비로 인해 전반적으로 보통수준 정도로 예상된다. 저온성을 생산하는 임가에서는 통풍 관리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3월 중순이후 표고 생산량 전망
  단위 : %
 
구분 작년대비 생산량 증감률
전국 강원 경기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생표고 -14.2 10.0 -4.4 -15.0 -17.7 -12.5 -14.3 -5.0 -27.5 0.0
건표고 -2.0 - - - 4.3 -10.0 -4.1 2.2 -10.0 -
 

주1: 표본임가 조사치(2월 19일 ~ 3월 3일)
주2: 2009년은 표본임가의 접종 본 수 이며 2010년은 접종희망 본 수 임.

 
3월 중순이후 표고 품질 응답률
  단위 : %
 
구분 작년 대비 품질 응답률
좋음 보통 나쁨
생표고 31.1 55.6 13.3
건표고 37.8 53.3 8.9
 

주: 표본임가 조사치(2월 19일 ~ 3월 3일)

 
올해 톱밥배지 생산량 크게 증가할 듯
올해 톱밥배지 생산량이 작년 대비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기존의 원목재배와 톱밥배지 생산을 함께 하고 있는 임가에서 표고자목 가격 상승 등 원목재배의 수익성 악화로 톱밥배지 생산 비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2월 생표고 가격 작년 동기 대비 21.6% 상승
기상여건의 변화로 생산량이 감소한 반면 외식, 식자재 등 소비수요 증가로 작년 12월부터 1월까지 생표고 가격은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였다.
2월 생표고 도매가격은 4㎏당 특품 39,493원, 상품 27,612원, 중품 19,748원, 하품 13,668원으로 전반적으로 작년 보다 21.6% 상승하였다.
선물용 수요가 많은 특품과 상품 가격은 작년 동기대비 각각 9.4%, 8.0%로 소폭 상승하였고, 가공품과 식자재 수요가 많은 중·하품은 지속적인 소비 수요로 작년 동기대비 각각 16.5%, 40.3% 상승하였다.
 
생표고 월별 평균 도매가격과 반입량
  단위: 원/4kg, 톤
 
년도 구분 1월 2월 3월
'10 특품 54,795 39,493 35,096
상품 34,637 27,612 23,432
중품 24,212 19,748 12,110
하품 18,813 13,668 5,352
반입량 221 332 33
'09 특품 60,995 36,113 38,391
상품 43,596 25,559 27,726
중품 31,663 16,954 18,379
하품 22,805 9,745 10,325
반입량 329 430 501
 

자료 : 가락시장
주1 : 월별 가격은 가락시장 일일 도매가격의 월별 평균가격을 의미함.
주2 : 3월 자료는
3월 5일까지의 자료임.

 
생표고(중품)의 일일 도배가격 동향
 
  자료: 가락시장
주1: 일일가격은 5일 이동평균가격임.
주2 : 3월 가격 자료는 3월 5일까지의 자료임.
주3: 평년가격은 ‘05~’09년의 가격 중 최대치, 최소치를 제외한 평균가격임.
 
생표고 가격 작년 동기 대비 하락 전망
학교 급식 등 소비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수입산 물량 증가로 3월 중순이후 생표고 가격은 평년대비 높겠으나 작년 대비 하락할 전망이다. 다만, 식자재 및 가공품 수요 증가로 중·하품 가격은 크게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4월 초에는 나물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표고버섯 소비감소가 예상된다.
건표고 가격은 기상 여건으로 인한 품질저하와 생산량 감소에 따른 작년 대비 강보합세가 예상된다.
 
 
3월 중순 이후 표고 수입 감소할 듯
2009년 표고버섯 총 수입량(생표고로 환산)은 19,096톤이며 2008년 대비 1.6% 증가하였다. 이는 국내 생산이 정체를 보이면서 생표고 가격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2009년 생표고 수입량이 2008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2010년 1∼2월에는 표고버섯의 수입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생표고 및 조제표고 수입량은 작년 동기대비 2배 이상 증가하였다. 생표고 생산감소로 국내 가격이 평년 대비 높게 형성되면서 1∼2월에는 생표고 722톤이 수입되었고, 조제표고는 통조림 등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식자재용으로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2월까지 1,225톤이 수입되었다.
국내 건표고 가격이 높게 형성됨에 따라 2월까지 건표고 수입량은 작년 동기대비 20.3% 증가한 463톤이 수입되었다. 남북교역을 통한 표고버섯의 연간 반입한도가 2009년 800톤에서 2010년 600톤으로 조정되었으며, 1월에는 50톤이 반입되었다.
3월 중순이후 표고버섯의 수입은 중국의 표고 생산량 감소 및 수입가격 상승과 1∼2월 국내 수입 재고량 증가로 감소할 전망이다.
 
수입실적(남북교역량 포함)
  단위 : 톤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누계
'10 생표고 364 408 - - - - - - - - - - 772
건표고
(북한산)
241
(50)
222 - - - - - - - - - - 463
(50)
조제
표고
797 428 - - - - - - - - - - 1,225
'09 생표고 223 108 37 45 60 36 66 37 58 108 128 394 1,301
건표고
(북한산)
280
(133)
106
(26)
164
(31)
202
(52)
276
(103)
262
(82)
217
(72)
163
(33)
113
(0)
122
(0)
124
(30)
296
(71)
2,322
(614)
조제
표고
368 201 327 353 182 317 369 429 350 277 192 727 4,092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통일부(www.unikorea.go.kr).
주1: 2월의 수입실적은 관세청 잠정 추계치임.
주2: 북한산 건표고의 2010년도 반입한도는 600톤임

 
3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 소폭 감소할 듯
2009년 건표고 총 수출량은 238톤으로 2008년 대비 14.9% 감소하였다. 이는 국내 건표고 생산량 감소로 국내 가격이 높게 형성되면서 시장구조가 내수 위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지속적인 일본 경기침체와 국내 건표고 생산량이 감소하고 품질이 보통수준으로 전망되어 수출보다는 내수 위주의 판매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3월 중순 이후 건표고 수출은 작년 동기대비 소폭 감소할 전망이다.
 
건표고의 월별 수출량 동향
 
 

자료: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관세청(www.customs.go.kr)

 
초겨울 수확 가능한 중온성 톱밥재배용 "참아람" 신품종 개발
산림청 표고생산기반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산림버섯연구소에서는 낮은 온도에서도 발생과 생육이 잘 되어 초겨울까지 고품질 버섯수확이 가능한 톱밥재배용 중온성 신품종 ‘참아람’을 개발하였다.
특 성 : 저온기(11월) 발생 유리, 가온시설 이용시 일반재배사에서 동절기 재배 가능 대가 굵고 품질 우수
온도범위 : 8∼21℃
 
(문의처 : 031-881-0231)
 
 
 
3월 중순에는 기온이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일시적인 대륙고기압의 영향으로 한 차례 기온이 큰 폭으로 떨어져 기온변화가 크겠음. 남서기류의 영향으로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한 차례 많은 비가 오겠으며, 영동 산간지방에는 눈이 오겠음. 3월 하순과 4월 상순에는 이동성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기온이 평년보다 높겠음. 전반적인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겠으나, 남쪽을 지나는 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남해안 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오겠음.
 
순별 평균기온 및 강수량
단위 : ℃,㎜
구분 서울 강릉 대전 대구 전주 광주 부산 제주
3월중순 최고기온 10.3 10.5 11.6 12.9 12.0 12.5 13.1 12.2
최저기온 1.1 1.4 0.1 2.0 0.7 1.5 4.6 5.4
강수량 12.4 17.5 16.5 16.4 17.1 22.3 28.9 32.2
3월하순 최고기온 12.3 12.0 13.6 14.6 13.9 14.3 14.1 13.4
최저기온 2.9 3.0 2.0 3.9 2.5 3.3 6.1 6.8
강수량 17.8 26.4 23.2 19.9 23.5 25.2 32.4 29.3
4월상순 최고기온 15.4 15.4 16.6 17.7 17.0 17.1 16.2 15.5
최저기온 5.3 5.4 4.1 5.9 4.7 5.4 7.9 8.3
강수량 21.5 25.8 27.8 23.1 25.9 30.0 40.4 30.5
주:강수량은 1971~2000년의 평균치임
 
* 임업관측 2010년 5월호 예고(예정일자 : 2010. 4. 15) *

 

 
품목: 표고버섯
내용: 표고버섯 재배 동향, 가격 동향, 수출입 동향
『임업관측월보』는 인터넷과 임업전문지를 통해서도 보실 수 있습니다.『임업관측월보』와 관련하여 의견이 있으신 분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 내의 우측【바로가기】을 선택한 후【질의응답】을 이용하여 의견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
 
인터넷 홈페이지 ☞ http://www.krei.re.kr ☎ 02) 3299-4383 FAX : 02) 960-0165 http://www.forest.go.kr ☎ 042) 481-4207 FAX : 042) 481-4198
담당자 : 장철수, 석현덕, 김성주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