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목록

임업관측정보

제4유형
임업관측정보 상세보기 - 카테고리, 제목, 파일, 내용 정보 제공
2012_ 01대추관측월보
 년   월
파일
 

 

 


2011년 대추 생산량 전년대비 감소

대추의 개화기와 착과기에 잦은 강우로 인한 일조량 부족으로 2011년 주산지 전체 대추 생산량은 전년에 비해 약 20% 감소한 7,551톤으로 추정된다. 군위지역의 생산량 감소폭이 가장 크고, 개화기가 빨라 장마의 영향을 덜 받은 청도와 밀양지역은 전년보다 생산량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대추 9월 이후 높은 가격수준 유지

2010년 대추 생산량 감소로 건대추 재고량이 부족하여 추석 시기(9월) 건대추 가격은 상품(특초)기준 kg당 약 8,000원 정도로 상승하였고, 10월에는 kg당 8,500원까지 상승하였다. 11월부터 햇 건대추가 출시되었으나, 2011년 대추 생산량이 줄어 박스 당 가격은 오히려 상승하였다. 그러나 올해 대추의 크기가 작아 kg당 가격은 8,500원 정도로 유지되었다.
 

건대추 가격 설날까지 강보합세 전망

2010년 생산된 건대추 재고가 거의 소진되었고 2011년 대추 생산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에 2011년 하반기의 높은 가격이 2012년 설날까지 이어질 것이며, 이후 다소 내려갈 것으로 예상된다.
 

건대추 가격 상승폭 클 경우 수입 가능성 있어

2011년 11월까지 대추 수입량은 약 10톤으로 2월 이후 수입은 없었다. 중국산 건대추 가격이 국산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므로 그동안 수입이 없었으나 2011년 하반기 국내 건대추 가격이 상승하여 2012년 초 중국산 건대추의 수입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2012년 대추 재배면적 2011년보다 소폭 감소할 듯

보은지역을 제외한 기타 주산지에서는 2011년보다 재배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재배면적은 2011년보다 약 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 건대추 수입 가능성 있어

• 2009년 이후 건대추 수입은 거의 없었으나, 국내 가격이 높게 형성되어 있어 향후 중국산 건대추의 수입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