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게 성장 중인 국내 식품산업(제조업+외식) 규모는 2023년 기준 368조 원 수준(도·소매유통업 포함 시 763조 원 규모)
식품산업은 후방산업인 농림수산업과 전방산업인 식품 유통업, 외식업 및 숙박업 등과의 연계를 통하여 국내 농수산물의 수급 안정 및 농가소득 증대에 큰 영향을 주는 중요한 산업임. 이에 따라 여건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하여 식품산업 정보를 다양하게 분석하고 수요자들에게 관련된 정보의 효과적인 제공이 필요
『식품산업진흥법』 제9조의 2는 식품산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식품산업정보분석 전문기관’을 지정하도록 명시
식품산업진흥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식품산업정보분석 전문기관의 주요 업무
식품산업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가공 및 심층분석하고, 식품산업 분석 정보 이용을 활성화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
식품기업과 정책당국, 소비자들에게 시의적절하고 유용한 식품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식품기업의 글로벌화 및 선진화, 식품산업정책의 효율적 추진, 소비자의 올바른 식품선택권 보장 등을 추구 주요 사업 내용
2016년부터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식품산업 정보분석 전문기관]으로 지정되어 관련된 주요 과업들을 수행해 왔으며, 연도별로 다음과 같은 과업을 수행
식품산업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가공 및 심층분석하고, 식품산업 분석 정보 이용을 활성화하는 정보시스템을 구축
식품기업과 정책당국, 소비자들에게 시의적절하고 유용한 식품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식품기업의 글로벌화 및 선진화, 식품산업정책의 효율적 추진, 소비자의 올바른 식품선택권 보장 등을 추구